테이크 아웃 커피전문점 사업계획서 다운
[목차]
-1회 용기 대신 자기 컵 가져오면 값을 깍아주는 환경 친화적 발상에 그 자리에서 커피를 갈아 새로 만들어 주는 맞춤형이 있다.
스타벅스가 2000년 초반 한국 젊은이들 문화의 핵심어로 짚어낸 것이 변화와 유연성이다. 계란 상자같은 종이 상자에 커피를 담아 들고 가는 스타벅스식 테이크 아웃은 다방의 촌티나는 한가함이나 청담동 고급 커피숍의 레저적 유한을 거부한다. 영상시대, 인터넷 문화속에 사는 젊은이들에게 들고 다니며 마시는 커피의 속도감이 맞아 떨어진다.
- 모든 재료를 미국 본사에서 공급한다.
이것은 우리 한국인의 입장에서 볼 때 그리 달갑지만은 않다. 커피의 재료는 물론 종이컵에서부터 휴지까지 몽땅 미국 본사에서 공급한다는 자체가 어쩐지 떨떠름하다
2.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 시장분석
(1) 시장규모
1) 실제매출액 규모
해당업종에 99년 7월에 개설되기 시작했으므로 전체 시장에 대한 자료는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강남역 주변 상권으로 압축하였기 때문에 유사한 매출상태를 보이고 있는 상권을 중심으로 실제 매출규모를 추정하여 보았다.
① 평균매출액
- 24시간 영업, 1시간마다 고객 체인지, 테이블 대수 20대 기준
- 일일 예상 매출액: 3500 x 24시간 = 1680000원
* 초기 정착단계에서는 단골 고객 미확보, 홍보진행중 등의 이유로 인해 전체 평균 매출액의 30~40%로 예상가능함. 정착단계에서는 80~120%의 매출을 기대할 수 있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