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 자료
 



[목차]
 

1. 머리말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1) 북방식 지석묘

    2) 남방식 지석묘

    3) 개석식 지석묘

3. 지상형·지하형 지석묘

    1) 지상형 지석묘

    2) 지하형 지석묘

4. 맺음말




2. 북방식·남방식·개석식 지석묘
우리나라 지석묘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형식의 지석묘가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크게 남북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북방식 지석묘와 남방식 지석묘로 부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북방식 지석묘는 묘실이 지상에 있으며, 남방식 지석묘는 묘실이 지하에 있다. 그리고, 남방식 지석묘 중 지석이 없는 것을 개석식으로 분류하였다.
남방식과 북방식이라는 명칭은 지역적인 명칭이므로, 이 분류기준에는 지역적인 기준과 석실위치에 따른 분류기준이 함께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1) 북방식 지석묘
북방식 지석묘는 네 개의 판석을 세워서 장방형의 석실을 구성하고 그 위에 거대하고 편평한 돌을 상석으로 올려 놓은 것으로, 유해가 매장되는 석실을 지상에 노출시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석실의 긴 변에 세운 두 개의 지석은 거대한 상석의 무게를 직접 받고 있으므로 두꺼운 판석을 사용하고 있으며, 하부는 땅 속에 깊이 묻혀 석실 내부 바닥보다 훨씬 뿌리가 깊다. 또한, 밑뿌리의 형태는 되도록 지하에 깊이 박을 수 있도록 삼각형이나 반달형을 이루고 있다.
석실의 짧은 변에 세우는 지석은 긴 변 지석 내부에 들어와 ‘ㅍ’모양으로 세워진다. 이 짧은 지석들은 상석의 중량을 직접 받지 않기 때문에 입구를 여닫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북방식 지석묘 중에는 네 개의 지석 중 한 두 개가 없어진 경우도 많다.
석실 내부 바닥에는 자갈이나 판석을 깐 것도 있으나, 그냥 맨땅으로 된 것이 보통이다. 지석 하부에는 기초를 튼튼히 하기 위해 돌덩이로 보강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석실 바깥쪽에 돌을 깐 경우는 거의 없다.
석실은 대개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나, 황주군 송신동의 예처럼 남북 장축의 석실 안에 세 장의 판석을 동서 방향으로 세워 네 개의 칸을 만들고, 각 칸에 시체를 동서방향으로 눕혔던 흔적이 있는 경우도 있다.




 

묘.hwp 묘.hwp 묘.hwp 묘.hwp 묘.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

 

제목
dalbong UE
건강 불평등 문제에 관해 설명하고, 건강 불평등의 원인과 관련한 다양한 설명들을 정리한 다음, 이러한 설명 중 가장 설득력이 높은 것 하나를 선택해 이에 근거해 대안을 제시하시오. Report RN
올리브영 기업 경영전략과 마케팅믹스 7P전략 분석 / 올리브영 향후전략 제언 등록 KL
dalbong ZE
2024년 KCC 76가지 면접 질문 답변 기업정보 개정판 Down YP
A+자료 자료실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 최종완성본 자료(실습생 서약서, 실습기관 분석 보고서, 실습일지 등등) 레포트 AR
만3세 1학기 관찰일지 / 1학기 발달평가 100페이지 (표준보육과정 평가제) 다운받기 WO
방송대 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 한국사의이해(공통) -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을 꼽고 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DownLoad PM
사회복지 자료 노인복지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노인복지론) 레포트 XE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과제물)교재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5장 각각 장의 마지막에는 3. 원문 읽기가 있다 이 중 인상 깊게 읽은 고전 원문의 장과 제목을 밝히고 인상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DownLoad WE
세아상역 역대면접기출 면접노하우 등록 YR
사회복지현장실습 업로드 사회복지실습 사례관리계획서(노인전문요양센터, 노인전문지원센터 사례관리계획서) Report LR
다문화가족의 정의와 현황,정책 및 외국사례 등록 IS
만0세 3월-2월 1년 부모상담일지,부모면담일지 레폿 AH
묘 자료 AT
클리퍼드 기어츠의 주요 생애, 주요 사상, 문화의 해석 줄거리 요약, 내용 요약, 감상문, 독후감, 느낀점, 나의 소감, 나의 견해 총체적 조사분석 다운 DY
서비스마케팅=리츠칼튼,경영분석 DownLoad SO
방송대 21학년도1학기 기말시험) 동서양고전의이해(공통)(명이대방록) 보고서 YA
dalbong CI
dalbong 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