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등록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윷놀이
01 윷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1.1 구성
1.2 방법과 규칙
03 윷놀이의 사회적 측면
3.1 목적
3.2 전통사회에서의 역할
3.3 현대사회에서의 역할
04 윷놀이와 비슷한 놀이
05 윷놀이의 교육적 측면
5.1 교육적 기능
5.2 교육적 가치
5.3 윷놀이의 교육적 활용
목차
02 윷놀이의 역사적 측면
2.1 유래
2.2 변천과정
1. 윷놀이에 대한 전반적 이해
1.1
윷놀이의 구성
1-1
1.2 놀이방법
1-1
01 윷, 말판, 말을 준비한다.
02 두 사람 이상이 편을 가른다.
03 윷가락 두 개를 던져 순서를 정한다.
04 윷을 던져 나온 도, 개, 걸, 윷, 모 중 하나에 따라 말을 말 밭 에 놓는다.
05 먼저 말 네 개(네 동)가 말밭을 돌아 출발점을 빠져 나오는 편이 이긴다.
1.2 놀이방법
1-1
01 윷이나 모가 나오면 한 번 더 던진다.
02 앞서가는 말을 잡을 수 있으며, 상대편 말을 잡으면 한 번 더 던진다.
03 윷이나 모로 잡을 땐 두 번 던지지 않는다. 단, 윷이나 모가 나왔으므로 한 번 더 던진다.
04 말은 두 동, 세 동, 네 동으로 동무하여 함께 갈 수 있다.
05 윷을 위로 던지지 않고 굴리면 규칙에 어긋나며, 일정한 곳(예:멍
석, 돗자리)을 벗어나면 무효이다.
06 윷가락 하나에 표시를 하여 이것이 나오면 말밭을 물러나게 하는 등의 재미를 곁들일 수 있다.
1.3 규칙
윷놀이 직접 해보기
2. 윷놀이의 역사적 측면
1-1
01 삼국시대
7세기 중엽 당나라 이연수가 편찬한 `북사` 의 ‘백제전’
: 백제의 놀이로 투호, 저포, 롱주, 바둑 등의 오락이 있다고 소개
02 고려시대
윷놀이에 대해 가장 확실하게 언급된 시기
윷놀이를 하기에 앞서 시를 지음
2.1 유래
미륵사지 강당 주춧돌에 새겨진 백제의 윷판 (삼국시대)
03 조선시대
조선시대- 조선인의 오락 윷놀이
많은 이들이 즐기던 놀이
18세기말 유득공- 제야와 원단에 윷가락을 던져서 새해의 길흉을 점치는 풍속이 있다고 전함
1-1
01 윷패의 변화
사진법(도,개,걸,윷)
오진법(도,개,걸,윷,모…(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