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로새서의 신학이 다른 서간들에서의 신학보다 좀 더 발전된 형태를 취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골로새서 2장에서는 주님의 우주적 주권에 관한 말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바오로의 선교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골로새에서도 가까운 에베소를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로 생각하기도 한다. 이는 영지주의7)라고 일컬어지는 사상의 한 형태이다. 따라서 우리는 골로새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3)과 더불어 골로새서 2장에 등장하는 인본주의, 바오로는 골로새서를 통해 그리스도가 우주 안에서 독특한 지위를 갖고 있으며,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1) 라는 말이 있다. 둘째,15)9) -골로새서의 저자 문제 초기 기독교에서는 골로새서를 바오로의 기록으로 믿었다. 하지만 주전/주후 모든 시대에 걸쳐 믿음을 부정하는 여러 운동들이 전개되어 왔고, 에바브라5)라는 위임자를 내세워 세운 것이다.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사로잡을까 주의하라 이것은 사람의 전통과 세상의 초등학문을 따름이요 그리스도를 ......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골로새서 2:8을 본문으로 하여)
Ⅰ.머리말 Ⅳ.뉴에이지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
Ⅱ.골로새서 본문해석 Ⅴ.맺음말
Ⅲ.뉴에이지와 인본주의 소개
Ⅰ.머리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1) 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주전/주후 모든 시대에 걸쳐 믿음을 부정하는 여러 운동들이 전개되어 왔고, 이는 곧 신이라는 실재에 대한 회의로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골로새서 2장에서는 주님의 우주적 주권에 관한 말씀을 제시하고 있다.2) 우주적 주권을 통해 권세자 들을 바로잡으며 우리에게는 거짓학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한다.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사로잡을까 주의하라
이것은 사람의 전통과 세상의 초등학문을 따름이요
그...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골로새서 2:8을 본문으로 하여)
Ⅰ.머리말 Ⅳ.뉴에이지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
Ⅱ.골로새서 본문해석 Ⅴ.맺음말
Ⅲ.뉴에이지와 인본주의 소개
Ⅰ.머리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1) 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주전/주후 모든 시대에 걸쳐 믿음을 부정하는 여러 운동들이 전개되어 왔고, 이는 곧 신이라는 실재에 대한 회의로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골로새서 2장에서는 주님의 우주적 주권에 관한 말씀을 제시하고 있다.2) 우주적 주권을 통해 권세자 들을 바로잡으며 우리에게는 거짓학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한다.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사로잡을까 주의하라
이것은 사람의 전통과 세상의 초등학문을 따름이요
그리스도를 따름이 아니니라 [골로새서 2:8]
이 본문을 우리는 문자 그대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올바른 성서 이해는 본문 그 자체뿐만 아니라 서술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의 상황을 모두 고려할 때에 비로소 가능해진다. 따라서 우리는 골로새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3)과 더불어 골로새서 2장에 등장하는 인본주의, 그리고 현대의 뉴에이지 사상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우주적 인본주의라고 불리는 뉴에이지의 원인 및 현상을 찾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성서/신학적 기준을 바탕으로 발표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4)
Ⅱ.골로새서 본문해석
1.골로새서의 내용 구분
①서론(1:1 11) : 감사와 기도
②신학적 기초(1:12 2:23) : 그리스도는 주님
1)기독론적 찬양시(1:12-23)
2)사도의 직분(1:24 2:5)
3)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2:6 23)
-기독교 신앙의 본질
교리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
실천으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
③윤리적 적용(3:1 4:6) :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처럼 살라
1)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했으니, 그 안에서 살라(3:1 4)
2)옛 사람을 벗고, 새사람을 입으라(3:5 17)
-옛 사람을 벗는 것, 새사람을 입는 것의 의미
3)가족생활에의 구체적 적용(3:18 4:1)
4)기도와 전도에 대한 구체적 지시(4:2 6)
④결론(4:7 18)
1)두기고와 오네시모의 추천
2)인사(4:10 15)
3)교훈(4:16 17)
4)친필서명과 축도(4:18)
2.골로새 서신에 대한 전반적 소개
-골로새
골로새는 에베소의 동쪽에 위치한 도시였다. 골로새의 교회는 바울이 직접 세운 것이 아니며, 에바브라5)라는 위임자를 내세워 세운 것이다. 골로새 교회의 구성원은 주로 이방인 기독교인들이었으며, 바오로는 위임자 에바브라로부터 골로새의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듣고 옥중에서6) 이 서간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골로새서의 집필 동기
바오로는 에바브라로부터 교회 안의 ‘위험한’ 교리가 성행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러한 교리는 어떤 천사적 존재들이 인간의 일을, 그리고 모든 피조물들까지도 지배한다는 신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이는 영지주의7)라고 일컬어지는 사상의 한 형태이다. 이 교리의 주요 관심사는 이 천사적 존재들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었다. 이러한 교리는 하느님과 우주 간에 존재하는 가장 우월하신 존재자인 그리스도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바오로는 골로새서를 통해 그리스도가 우주 안에서 독특한 지위를 갖고 있으며, 그가 우주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히고자 했다.8) 그는 ‘위험한 교리’에 대해 반박함과 동시에 우주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역할이 그 자체로 충분함을 강조한다(2,15)9)
-골로새서의 저자 문제
초기 기독교에서는 골로새서를 바오로의 기록으로 믿었다. 그런데 19세기에 접어들면서부터 골로새서가 바오로의 기록이라는 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들이 바오로의 친저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데는 크게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골로새서의 문체가 다른 바오로 서간들과 다르다는 점이다. 골로새서에 사용되는 단어 중 48개는 다른 바오로 서간문에서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단어들이라는 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둘째, 골로새서의 신학이 다른 서간들에서의 신학보다 좀 더 발전된 형태를 취한다는 것이다. 좀 더 세련된 수사법의 사용(그리스도를 머리로 생각하는 ‘몸’의 개념과 같은), 종말에 대한 기대의 감소 등이 그 예이다. 셋째, 골로새서에서 바오로가 적대시하는 영지주의적 사상은 2세기에 성행했던 사상이라는 점이다. 또한 골로새서가 바오로 한 사람의 이름이 아니라, 바오로와 디모데의 이름으로 발송된 편지라는 것도, 바오로가 골로새서를 직접 집필했을 것이라는 것에 대한 의혹의 한 근거이다. 이러한 근거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골로새서는 바울이 직접 집필한 것이라기보다는, 바오로의 제자 중 한 명에 의해 후대에 기록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옳다.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와 시기
골로새서는 옥중에서 기록된 서간이다. 그러나 바오로는 여러 번 투옥되었기 때문에 옥중에서 작성되었다는 기록만으로는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를 알아낼 수 없다. 어떤 학자들은, 바오로의 선교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골로새에서도 가까운 에베소를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로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골로새서의 내용 중에서 바오로와 함께 있는 것으로 기록된 마르코와 루가가 실제로 에베소에 있었던 적이 없었던 적을 감안할 때, 골로새서의 집필 장소를 가이샤라10)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샤라는 바오로와 그의 동료들이 전도 활동을 벌이기에는 너무 작은 도시였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전통적인 견해를 따라 로마를 골로새서의 집필 장소로 인정하고 있다.
Ⅲ.뉴에이지 및 인본주의 설명뉴에이지
뉴에이지 운동에 대한 개괄적 소개
뉴에이지 운동이란
2
골로새의 교회는 바울이 직접 세운 것이 아니며, 에바브라5)라는 위임자를 내세워 세운 것이다. 좀 더 세련된 수사법의 사용(그리스도를 머리로 생각하는 ‘몸’의 개념과 같은), 종말에 대한 기대의 감소 등이 그 예이다.4) Ⅱ.머리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1) 라는 말이 있다.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전통적인 견해를 따라 로마를 골로새서의 집필 장소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올바른 성서 이해는 본문 그 자체뿐만 아니라 서술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의 상황을 모두 고려할 때에 비로소 가능해진다..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골로새서 2:8을 본문으로 하여) Ⅰ. 골로새 교회의 구성원은 주로 이방인 기독교인들이었으며, 바오로는 위임자 에바브라로부터 골로새의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듣고 옥중에서6) 이 서간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 Ⅲ. 골로새의 교회는 바울이 직접 세운 것이 아니며, 에바브라5)라는 위임자를 내세워 세운 것이다.골로새서 본문해석 Ⅴ.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골로새서 2:8을 본문으로 하여) Ⅰ.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머리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1) 라는 말이 있다.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 Ⅲ.2) 우주적 주권을 통해 권세자 들을 바로잡으며 우리에게는 거짓학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한다.. 그러나 골로새서 2장에서는 주님의 우주적 주권에 관한 말씀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골로새서의 내용 중에서 바오로와 함께 있는 것으로 기록된 마르코와 루가가 실제로 에베소에 있었던 적이 없었던 적을 감안할 때, 골로새서의 집필 장소를 가이샤라10)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뉴에이지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 Ⅱ.머리말 Ⅳ.골로새서 본문해석 Ⅴ. 둘째, 골로새서의 신학이 다른 서간들에서의 신학보다 좀 더 발전된 형태를 취한다는 것이다.머리말 Ⅳ.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 이러한 교리는 어떤 천사적 존재들이 인간의 일을, 그리고 모든 피조물들까지도 지배한다는 신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뉴에이지 및 인본주의 설명뉴에이지 뉴에이지 운동에 대한 개괄적 소개 뉴에이지 운동이란 2. 이는 영지주의7)라고 일컬어지는 사상의 한 형태이다.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사로잡을까 주의하라 이것은 사람의 전통과 세상의 초등학문을 따름이요 그.뉴에이지와 인본주의 소개 Ⅰ.. 그런데 19세기에 접어들면서부터 골로새서가 바오로의 기록이라는 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이 생기기 시작했다.머리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1) 라는 말이 있다.2) 우주적 주권을 통해 권세자 들을 바로잡으며 우리에게는 거짓학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한다. 좀 더 세련된 수사법의 사용(그리스도를 머리로 생각하는 ‘몸’의 개념과 같은), 종말에 대한 기대의 감소 등이 그 예이다.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사로잡을까 주의하라 이것은 사람의 전통과 세상의 초등학문을 따름이요 그리스도를 따름이 아니니라 [골로새서 2:8] 이 본문을 우리는 문자 그대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골로새서의 내용 구분 ①서론(1:1 11) : 감사와 기도 ②신학적 기초(1:12 2:23) : 그리스도는 주님 1)기독론적 찬양시(1:12-23) 2)사도의 직분(1:24 2:5) 3)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2:6 23) -기독교 신앙의 본질 교리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 실천으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 ③윤리적 적용(3:1 4:6) :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처럼 살라 1)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했으니, 그 안에서 살라(3:1 4) 2)옛 사람을 벗고, 새사람을 입으라(3:5 17) -옛 사람을 벗는 것, 새사람을 입는 것의 의미 3)가족생활에의 구체적 적용(3:18 4:1) 4)기도와 전도에 대한 구체적 지시(4:2 6) ④결론(4:7 18) 1)두기고와 오네시모의 추천 2)인사(4:10 15) 3)교훈(4:16 17) 4)친필서명과 축도(4:18) 2.맺음말 Ⅲ. 이 교리의 주요 관심사는 이 천사적 존재들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었다. 우주적 인본주의라고 불리는 뉴에이지의 원인 및 현상을 찾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성서/신학적 기준을 바탕으로 발표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골로새서 2:8을 본문으로 하여) Ⅰ. 따라서, 바오로는 골로새서를 통해 그리스도가 우주 안에서 독특한 지위를 갖고 있으며, 그가 우주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히고자 했다.골로새서 본문해석 1.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와 시기 골로새서는 옥중에서 기록된 서간이다. 그러나 골로새서 2장에서는 주님의 우주적 주권에 관한 말씀을 제시하고 있다.8) 그는 ‘위험한 교리’에 대해 반박함과 동시에 우주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역할이 그 자체로 충분함을 강조한다(2,15)9) -골로새서의 저자 문제 초기 기독교에서는 골로새서를 바오로의 기록으로 믿었다..4) Ⅱ. 골로새서에 사용되는 단어 중 48개는 다른 바오로 서간문에서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단어들이라는 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골로새서의 내용 구분 ①서론(1:1 11) : 감사와 기도 ②신학적 기초(1:12 2:23) : 그리스도는 주님 1)기독론적 찬양시(1:12-23) 2)사도의 직분(1:24 2:5) 3)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2:6 23) -기독교 신앙의 본질 교리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 실천으로서의 거짓 교훈에 대한 경고 ③윤리적 적용(3:1 4:6) :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처럼 살라 1)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했으니, 그 안에서 살라(3:1 4) 2)옛 사람을 벗고, 새사람을 입으라(3:5 17) -옛 사람을 벗는 것, 새사람을 입는 것의 의미 3)가족생활에의 구체적 적용(3:18 4:1) 4)기도와 전도에 대한 구체적 지시(4:2 6) ④결론(4:7 18) 1)두기고와 오네시모의 추천 2)인사(4:10 15) 3)교훈(4:16 17) 4)친필서명과 축도(4:18) 2.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사로잡을까 주의하라 이것은 사람의 전통과 세상의 초등학문을 따름이요 그리스도를 따름이 아니니라 [골로새서 2:8] 이 본문을 우리는 문자 그대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골로새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3)과 더불어 골로새서 2장에 등장하는 인본주의, 그리고 현대의 뉴에이지 사상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이 교리의 주요 관심사는 이 천사적 존재들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었다.골로새 서신에 대한 전반적 소개 -골로새 골로새는 에베소의 동쪽에 위치한 도시였다. 이들이 바오로의 친저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데는 크게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또한 골로새서가 바오로 한 사람의 이름이 아니라, 바오로와 디모데의 이름으로 발송된 편지라는 것도, 바오로가 골로새서를 직접 집필했을 것이라는 것에 대한 의혹의 한 근거이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전통적인 견해를 따라 로마를 골로새서의 집필 장소로 인정하고 있다. 첫째, 골로새서의 문체가 다른 바오로 서간들과 다르다는 점이다.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골로새서 본문해석 1. 이러한 교리는 하느님과 우주 간에 존재하는 가장 우월하신 존재자인 그리스도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바오로는 여러 번 투옥되었기 때문에 옥중에서 작성되었다는 기록만으로는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를 알아낼 수 없다. 또한 골로새서가 바오로 한 사람의 이름이 아니라, 바오로와 디모데의 이름으로 발송된 편지라는 것도, 바오로가 골로새서를 직접 집필했을 것이라는 것에 대한 의혹의 한 근거이다.뉴에이지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 Ⅱ. 이들이 바오로의 친저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데는 크게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이러한 근거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골로새서는 바울이 직접 집필한 것이라기보다는, 바오로의 제자 중 한 명에 의해 후대에 기록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옳다. 어떤 학자들은, 바오로의 선교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골로새에서도 가까운 에베소를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로 생각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골로새서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3)과 더불어 골로새서 2장에 등장하는 인본주의, 그리고 현대의 뉴에이지 사상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골로새 서신에 대한 전반적 소개 -골로새 골로새는 에베소의 동쪽에 위치한 도시였다. 골로새서에 사용되는 단어 중 48개는 다른 바오로 서간문에서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단어들이라는 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골로새서의 집필 동기 바오로는 에바브라로부터 교회 안의 ‘위험한’ 교리가 성행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골로새서 본문해석 Ⅴ.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골로새서 2:8을 본문으로 하여) Ⅰ. 이러한 근거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골로새서는 바울이 직접 집필한 것이라기보다는, 바오로의 제자 중 한 명에 의해 후대에 기록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옳다. 그러나 가이샤라는 바오로와 그의 동료들이 전도 활동을 벌이기에는 너무 작은 도시였다. 하지만 골로새서의 내용 중에서 바오로와 함께 있는 것으로 기록된 마르코와 루가가 실제로 에베소에 있었던 적이 없었던 적을 감안할 때, 골로새서의 집필 장소를 가이샤라10)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뉴에이지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 Ⅱ. 둘째, 골로새서의 신학이 다른 서간들에서의 신학보다 좀 더 발전된 형태를 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리는 하느님과 우주 간에 존재하는 가장 우월하신 존재자인 그리스도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주전/주후 모든 시대에 걸쳐 믿음을 부정하는 여러 운동들이 전개되어 왔고, 이는 곧 신이라는 실재에 대한 회의로까지 이어졌다. 골로새 교회의 구성원은 주로 이방인 기독교인들이었으며, 바오로는 위임자 에바브라로부터 골로새의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듣고 옥중에서6) 이 서간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골로새서 본문해석 Ⅴ.맺음말 Ⅲ. 첫째, 골로새서의 문체가 다른 바오로 서간들과 다르다는 점이다.2) 우주적 주권을 통해 권세자 들을 바로잡으며 우리에게는 거짓학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한다. 이는 영지주의7)라고 일컬어지는 사상의 한 형태이다. 셋째, 골로새서에서 바오로가 적대시하는 영지주의적 사상은 2세기에 성행했던 사상이라는 점이다. -골로새서의 집필 동기 바오로는 에바브라로부터 교회 안의 ‘위험한’ 교리가 성행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뉴에이지와 인본주의 소개 Ⅰ. 하지만 주전/주후 모든 시대에 걸쳐 믿음을 부정하는 여러 운동들이 전개되어 왔고, 이는 곧 신이라는 실재에 대한 회의로까지 이어졌다.맺음말 Ⅲ.뉴에이지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 Ⅱ. 하지만 주전/주후 모든 시대에 걸쳐 믿음을 부정하는 여러 운동들이 전개되어 왔고, 이는 곧 신이라는 실재에 대한 회의로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교리는 어떤 천사적 존재들이 인간의 일을, 그리고 모든 피조물들까지도 지배한다는 신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골로새서 2장에서는 주님의 우주적 주권에 관한 말씀을 제시하고 있다. 우주적 인본주의라고 불리는 뉴에이지의 원인 및 현상을 찾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성서/신학적 기준을 바탕으로 발표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뉴에이지 및 인본주의 설명뉴에이지 뉴에이지 운동에 대한 개괄적 소개 뉴에이지 운동이란 2.머리말 Ⅳ.머리말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1) 라는 말이 있다.뉴에이지와 인본주의 소개 Ⅰ. 뉴에이지와 인본주의에 대한 성서적 이해 Down UN .. 그런데 19세기에 접어들면서부터 골로새서가 바오로의 기록이라는 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학자들이 생기기 시작했다.뉴에이지와 인본주의 소개 Ⅰ. 그러나 가이샤라는 바오로와 그의 동료들이 전도 활동을 벌이기에는 너무 작은 도시였다..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와 시기 골로새서는 옥중에서 기록된 서간이다. 누가 철학과 헛된 속임수로 너희를 사로잡을까 주의하라 이것은 사람의 전통과 세상의 초등학문을 따름이요 그. 셋째, 골로새서에서 바오로가 적대시하는 영지주의적 사상은 2세기에 성행했던 사상이라는 점이다.머리말 Ⅳ. 그러나 바오로는 여러 번 투옥되었기 때문에 옥중에서 작성되었다는 기록만으로는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를 알아낼 수 없다. 하지만 주전/주후 모든 시대에 걸쳐 믿음을 부정하는 여러 운동들이 전개되어 왔고, 이는 곧 신이라는 실재에 대한 회의로까지 이어졌다. 어떤 학자들은, 바오로의 선교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골로새에서도 가까운 에베소를 골로새서의 기록 장소로 생각하기도 한다.2) 우주적 주권을 통해 권세자 들을 바로잡으며 우리에게는 거짓학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한다. 그러나 골로새서 2장에서는 주님의 우주적 주권에 관한 말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바오로는 골로새서를 통해 그리스도가 우주 안에서 독특한 지위를 갖고 있으며, 그가 우주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히고자 했다. 하지만 올바른 성서 이해는 본문 그 자체뿐만 아니라 서술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의 상황을 모두 고려할 때에 비로소 가능해진다.8) 그는 ‘위험한 교리’에 대해 반박함과 동시에 우주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역할이 그 자체로 충분함을 강조한다(2,15)9) -골로새서의 저자 문제 초기 기독교에서는 골로새서를 바오로의 기록으로 믿었다.맺음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