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평창의 대부분의 땅은 험준한 산악지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각 지역별로 자신의 지역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살려내어 기존의 강점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진행하기도 하고 전혀 다른 도시나 지역의 모습으로 변화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템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으로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기도 하였다. Strategies 7 - 민관 합작을 통한 효과 극대화 7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7 4. 그 이유는 이렇다. 전략적 측면의 접근이 아니라 단순한 지역 정체성 확립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한 것이다. Conclusion 8 1. ㄴ. Index 1. 반면에 강원도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계곡, 지선도로망 확충) 주5일제에 따른 여가시간 증가 서울대 농생대 조성사업 유치 일본 훗카이도 삿포로 눈축제 (관광객 연간 100만명 방문) 자연보호와 대비되는 평창군 내 개발활동 2) STP - Segmentation / Targeting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려는 소비자들을 세분화하는 것과 달리 경쟁력이 있는 품목으로 세분화하고 이에 맞는 ......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Index
1. 평창소개와 주제 선정 동기 2
- 동기 2
- 지역소개 2
2. Analysis 3
1) SWOT 3
2) STP 4
- Segmentation / Targeting 4
- Positioning 5
- 6p`s 6
3. Strategies 7
- 민관 합작을 통한 효과 극대화 7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7
4. Conclusion 8
1. 평창소개와 주제 선정 동기
- 동기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도 지역 마케팅, 도시 마케팅이라는 단어를 쉽게 듣게 되었다. 사실 도시 마케팅이라는 것은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 이유는 이렇다. 그 지역들은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가 발전했다가(주로 제조업 중심임) 산업의 쇠퇴로 인해 도시가 황폐화되어 가고 경제 또한 무너져 내려가는 상황에서 각 지역의 경제를 다시금 살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경제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의 지역 마케팅 활동이 펼쳐지게 되었다.
각 지역별로 자신의 지역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살려내어 기존의 강점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진행하기도 하고 전혀 다른 도시나 지역의 모습으로 변화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템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으로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기도 하였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최근에 지역 마케팅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그것도 마케팅적 관점에서라기보다는 CI 작업 위주의 홍보활동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전략적 측면의 접근이 아니라 단순한 지역 정체성 확립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한 것이다.
그러나 국내의 지역 마케팅 사례 중에서도 브랜드 관점에서 치밀하게 준비하고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곳이 있다. 그 중의 한 곳이 바로 지자체 최초의 브랜드화를 이룬 강원도 평창이다.
- 지역소개
평창은 강원도에 있는 행정구역으로서 우리가 알고 있는 강원도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곳이다. 남한은 전형적인 동고서저형으로서 동쪽에 해당하는 강원도 지역은 지대가 높다. 지대가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경작할 수 있는 농경지가 임야에 비해 매우 적다. 평창의 경우 농경지는 전체 면적의 약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면적은 전국의 시/도 행정 구역 중에서 3번째로 넓은 지역이다. 즉, 평창의 대부분의 땅은 험준한 산악지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평창은 일반적으로 다른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화요소라든가 관광요소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 반면에 강원도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계곡, 이 계곡물을 활용할 수 있는 각종 레포츠(래프팅), 역시 자연적 조건을 활용한 겨울 스키 등이 평창이 가지고 있는 관광요소이다. 따라서 평창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경쟁력은 ‘자연’이라고 볼 수 있다.
2. Analysis
1) SWOT
Strength
Weakness
국내 최고의 자연 자원
이미 구축된 관광인프라
두 번의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획득한 평창의 높은 브랜드 가치
강원도내 타군보다 적은 노령인구
(경제활동인구가 높음)
농산물 직거래 장터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
관광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은 주민
지자체의 선구적인 관광 문화 행정
자연자원의 계절적 편중이 심함
문화지역으로서의 요소가 불충분
유형적 관광 상품이 부족
자연자원 이외의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
(3성 이상급 호텔이 지역 내 단 두 곳뿐)
Opportunity
Threat
동계올림픽 2018
접근성의 확장
(제2영동고속도로, 지선도로망 확충)
주5일제에 따른 여가시간 증가
서울대 농생대 조성사업 유치
일본 훗카이도 삿포로 눈축제
(관광객 연간 100만명 방문)
자연보호와 대비되는 평창군 내 개발활동
2) STP
- Segmentation / Targeting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려는 소비자들을 세분화하는 것과 달리 경쟁력이 있는 품목으로 세분화하고 이에 맞는 시장에 집중함.
ㄱ. 농산업
상품 : 메밀, 옥수수, 황태, 송어, 한우, 꽃, 딸기, 나물
규모 : 국내 소비자 이외의 구매력이 큰 일본 소비자 1억 존재
성과 : 2004년 3천2백만 달러어치 수출, 일본에서 평창의 해피 700 상표의 고추를 사용
ㄴ. 관광산업
상품 : 용평· 휘닉스 파크 스키장(전체관광객의 54%), 동막골 촬영지, 체험상품, 오대산국립공원
규모 : 비행 2시간 거리내 2천만 인구, 비행 3시간 거리내 6억 2천만의 인구
성과 : 04‘ 600백만 (외국인 17만) / 05’ 700백만 (외국인 14만) / 06‘ 800백만 / 07’ 1000만 예상
ㄷ. 바이오산업
상품 : 민간연구소, 기업 유치
내역 : 아시아의 알프스를 추구, 350억과 지방비를 더하여 585억원
(2010년까지 지원)
성과 : 서울대 농생대 유치
- Positioning
자연이라는 평창의 최대 강점을 관광객이라는 지역의 고객의 마음 속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해피700’이라는 브랜드를 만들고 이를 전략적으로 포지셔닝 함.
ㄱ. 평창의 브랜드 컨셉 : 온 국민의 쉼터, 아시아의 알프스
평창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은 ‘자연’이라는 것이다. 학교가 많은 것도 아니고 산업이 발달한 것도 아니고 문화적인 경쟁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산 속에 묻혀 있는 곳으로서 대자연이 지역의 중심적인 요소로 위치하고 있는 곳이다. 평창은 이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살려 지역 마케팅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그렇지만 자신의 강점인 ‘자연’이라는 소재를 살려 나가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키의 본고장, 때 묻지 않은 곳 등으로의 포지셔닝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먼저 내국인을 위한 여기서 평창은 다른 여러가지 중에서도 ‘휴식’이라는 방향성을 대표 선수로 내세우기로 하였다. 단순한 휴식이라는 관점을 넘어 ‘온 국민의 쉼터(휴식공간)’이라는 자신의 컨셉(아이덴티티)을 설정한 이후 이 컨셉을 중심으로 지역 마케팅을 펼치기로 한 것이다.
ㄴ.
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관광산업 상품 : 용평· 휘닉스 파크 스키장(전체관광객의 54%), 동막골 촬영지, 체험상품, 오대산국립공원 규모 : 비행 2시간 거리내 2천만 인구, 비행 3시간 거리내 6억 2천만의 인구 성과 : 04‘ 600백만 (외국인 17만) / 05’ 700백만 (외국인 14만) / 06‘ 800백만 / 07’ 1000만 예상 ㄷ. 전략적 측면의 접근이 아니라 단순한 지역 정체성 확립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한 것이다. 학교가 많은 것도 아니고 산업이 발달한 것도 아니고 문화적인 경쟁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면적은 전국의 시/도 행정 구역 중에서 3번째로 넓은 지역이다.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평창소개와 주제 선정 동기 2 - 동기 2 - 지역소개 2 2. 즉, 평창의 대부분의 땅은 험준한 산악지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의 한 곳이 바로 지자체 최초의 브랜드화를 이룬 강원도 평창이다. 평창은 이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살려 지역 마케팅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Index 1..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평창은 일반적으로 다른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화요소라든가 관광요소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 그러나 국내의 지역 마케팅 사례 중에서도 브랜드 관점에서 치밀하게 준비하고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곳이 있다. Analysis 1) SWOT Strength Weakness 국내 최고의 자연 자원 이미 구축된 관광인프라 두 번의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획득한 평창의 높은 브랜드 가치 강원도내 타군보다 적은 노령인구 (경제활동인구가 높음) 농산물 직거래 장터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 관광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은 주민 지자체의 선구적인 관광 문화 행정 자연자원의 계절적 편중이 심함 문화지역으로서의 요소가 불충분 유형적 관광 상품이 부족 자연자원 이외의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 (3성 이상급 호텔이 지역 내 단 두 곳뿐) Opportunity Threat 동계올림픽 2018 접근성의 확장 (제2영동고속도로, 지선도로망 확충) 주5일제에 따른 여가시간 증가 서울대 농생대 조성사업 유치 일본 훗카이도 삿포로 눈축제 (관광객 연간 100만명 방문) 자연보호와 대비되는 평창군 내 개발활동 2) STP - Segmentation / Targeting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려는 소비자들을 세분화하는 것과 달리 경쟁력이 있는 품목으로 세분화하고 이에 맞는 시장에 집중함.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최근에 지역 마케팅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각 지역별로 자신의 지역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살려내어 기존의 강점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진행하기도 하고 전혀 다른 도시나 지역의 모습으로 변화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템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으로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기도 하였다. ㄴ. 평창의 브랜드 컨셉 : 온 국민의 쉼터, 아시아의 알프스 평창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은 ‘자연’이라는 것이. 바이오산업 상품 : 민간연구소, 기업 유치 내역 : 아시아의 알프스를 추구, 350억과 지방비를 더하여 585억원 (2010년까지 지원) 성과 : 서울대 농생대 유치 - Positioning 자연이라는 평창의 최대 강점을 관광객이라는 지역의 고객의 마음 속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해피700’이라는 브랜드를 만들고 이를 전략적으로 포지셔닝 함. Strategies 7 - 민관 합작을 통한 효과 극대화 7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7 4. 그것도 마케팅적 관점에서라기보다는 CI 작업 위주의 홍보활동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단순한 휴식이라는 관점을 넘어 ‘온 국민의 쉼터(휴식공간)’이라는 자신의 컨셉(아이덴티티)을 설정한 이후 이 컨셉을 중심으로 지역 마케팅을 펼치기로 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평창은 일반적으로 다른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화요소라든가 관광요소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 ㄱ. Strategies 7 - 민관 합작을 통한 효과 극대화 7 - 평창 지역 브랜드 마케팅 결과 7 4. 평창은 이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살려 지역 마케팅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그 중의 한 곳이 바로 지자체 최초의 브랜드화를 이룬 강원도 평창이다. 따라서 평창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경쟁력은 ‘자연’이라고 볼 수 있다.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지대가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경작할 수 있는 농경지가 임야에 비해 매우 적다. 농산업 상품 : 메밀, 옥수수, 황태, 송어, 한우, 꽃, 딸기, 나물 규모 : 국내 소비자 이외의 구매력이 큰 일본 소비자 1억 존재 성과 : 2004년 3천2백만 달러어치 수출, 일본에서 평창의 해피 700 상표의 고추를 사용 ㄴ. 2.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하지만 면적은 전국의 시/도 행정 구역 중에서 3번째로 넓은 지역이다. 평창의 브랜드 컨셉 : 온 국민의 쉼터, 아시아의 알프스 평창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은 ‘자연’이라는 것이 남한은 전형적인 동고서저형으로서 동쪽에 해당하는 강원도 지역은 지대가 높다. 평창소개와 주제 선정 동기 - 동기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도 지역 마케팅, 도시 마케팅이라는 단어를 쉽게 듣게 되었다. 그 지역들은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가 발전했다가(주로 제조업 중심임) 산업의 쇠퇴로 인해 도시가 황폐화되어 가고 경제 또한 무너져 내려가는 상황에서 각 지역의 경제를 다시금 살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다. 반면에 강원도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계곡, 이 계곡물을 활용할 수 있는 각종 레포츠(래프팅), 역시 자연적 조건을 활용한 겨울 스키 등이 평창이 가지고 있는 관광요소이다.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ㄱ.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그 지역들은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가 발전했다가(주로 제조업 중심임) 산업의 쇠퇴로 인해 도시가 황폐화되어 가고 경제 또한 무너져 내려가는 상황에서 각 지역의 경제를 다시금 살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자신의 강점인 ‘자연’이라는 소재를 살려 나가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반면에 강원도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한 계곡, 이 계곡물을 활용할 수 있는 각종 레포츠(래프팅), 역시 자연적 조건을 활용한 겨울 스키 등이 평창이 가지고 있는 관광요소이다.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사실 도시 마케팅이라는 것은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먼저 내국인을 위한 여기서 평창은 다른 여러가지 중에서도 ‘휴식’이라는 방향성을 대표 선수로 내세우기로 하였다. 즉, 평창의 대부분의 땅은 험준한 산악지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최근에 지역 마케팅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지대가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경작할 수 있는 농경지가 임야에 비해 매우 적다. 그 이유는 이렇다. 먼저 내국인을 위한 여기서 평창은 다른 여러가지 중에서도 ‘휴식’이라는 방향성을 대표 선수로 내세우기로 하였다. 그래서 경제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의 지역 마케팅 활동이 펼쳐지게 되었다.. 그것도 마케팅적 관점에서라기보다는 CI 작업 위주의 홍보활동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지역 마케팅 사례 중에서도 브랜드 관점에서 치밀하게 준비하고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곳이 있다. 각 지역별로 자신의 지역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살려내어 기존의 강점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진행하기도 하고 전혀 다른 도시나 지역의 모습으로 변화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템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으로 도입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기도 하였다. 그래서 경제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의 지역 마케팅 활동이 펼쳐지게 되었다. 사실 도시 마케팅이라는 것은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평창의 경우 농경지는 전체 면적의 약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바이오산업 상품 : 민간연구소, 기업 유치 내역 : 아시아의 알프스를 추구, 350억과 지방비를 더하여 585억원 (2010년까지 지원) 성과 : 서울대 농생대 유치 - Positioning 자연이라는 평창의 최대 강점을 관광객이라는 지역의 고객의 마음 속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해피700’이라는 브랜드를 만들고 이를 전략적으로 포지셔닝 함.. ㄱ. 그 이유는 이렇다. 단순한 휴식이라는 관점을 넘어 ‘온 국민의 쉼터(휴식공간)’이라는 자신의 컨셉(아이덴티티)을 설정한 이후 이 컨셉을 중심으로 지역 마케팅을 펼치기로 한 것이다. Analysis 3 1) SWOT 3 2) STP 4 - Segmentation / Targeting 4 - Positioning 5 - 6p`s 6 3. 관광산업 상품 : 용평· 휘닉스 파크 스키장(전체관광객의 54%), 동막골 촬영지, 체험상품, 오대산국립공원 규모 : 비행 2시간 거리내 2천만 인구, 비행 3시간 거리내 6억 2천만의 인구 성과 : 04‘ 600백만 (외국인 17만) / 05’ 700백만 (외국인 14만) / 06‘ 800백만 / 07’ 1000만 예상 ㄷ.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산 속에 묻혀 있는 곳으로서 대자연이 지역의 중심적인 요소로 위치하고 있는 곳이다.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Analysis 3 1) SWOT 3 2) STP 4 - Segmentation / Targeting 4 - Positioning 5 - 6p`s 6 3. - 지역소개 평창은 강원도에 있는 행정구역으로서 우리가 알고 있는 강원도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곳이다. 평창의 경우 농경지는 전체 면적의 약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ㄴ. 그렇지만 자신의 강점인 ‘자연’이라는 소재를 살려 나가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농산업 상품 : 메밀, 옥수수, 황태, 송어, 한우, 꽃, 딸기, 나물 규모 : 국내 소비자 이외의 구매력이 큰 일본 소비자 1억 존재 성과 : 2004년 3천2백만 달러어치 수출, 일본에서 평창의 해피 700 상표의 고추를 사용 ㄴ. Index 1.. ㄱ. Conclusion 8 1.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예를 들면, 스키의 본고장, 때 묻지 않은 곳 등으로의 포지셔닝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지역소개 평창은 강원도에 있는 행정구역으로서 우리가 알고 있는 강원도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곳이다. Conclusion 8 1. 전략적 측면의 접근이 아니라 단순한 지역 정체성 확립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작용한 것이다. 남한은 전형적인 동고서저형으로서 동쪽에 해당하는 강원도 지역은 지대가 높다. 평창소개와 주제 선정 동기 - 동기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도 지역 마케팅, 도시 마케팅이라는 단어를 쉽게 듣게 되었다. 평창소개와 주제 선정 동기 2 - 동기 2 - 지역소개 2 2. 2.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Analysis 1) SWOT Strength Weakness 국내 최고의 자연 자원 이미 구축된 관광인프라 두 번의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획득한 평창의 높은 브랜드 가치 강원도내 타군보다 적은 노령인구 (경제활동인구가 높음) 농산물 직거래 장터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 관광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은 주민 지자체의 선구적인 관광 문화 행정 자연자원의 계절적 편중이 심함 문화지역으로서의 요소가 불충분 유형적 관광 상품이 부족 자연자원 이외의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 (3성 이상급 호텔이 지역 내 단 두 곳뿐) Opportunity Threat 동계올림픽 2018 접근성의 확장 (제2영동고속도로, 지선도로망 확충) 주5일제에 따른 여가시간 증가 서울대 농생대 조성사업 유치 일본 훗카이도 삿포로 눈축제 (관광객 연간 100만명 방문) 자연보호와 대비되는 평창군 내 개발활동 2) STP - Segmentation / Targeting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려는 소비자들을 세분화하는 것과 달리 경쟁력이 있는 품목으로 세분화하고 이에 맞는 시장에 집중함. 학교가 많은 것도 아니고 산업이 발달한 것도 아니고 문화적인 경쟁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산 속에 묻혀 있는 곳으로서 대자연이 지역의 중심적인 요소로 위치하고 있는 곳이다. 평창지역 브랜드마케팅기획 Report II . 따라서 평창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경쟁력은 ‘자연’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키의 본고장, 때 묻지 않은 곳 등으로의 포지셔닝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