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적인 것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단지 객관적으로만 선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매우 상이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확신은 자신의 자아와 완전히 동일시하였기 때문에, 인간의 존엄성의 관념을 포함한다. 그렇다면 양심이란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우리는 항상 실제로 양심을 따라야 하는가? 또 우리는 다른 사람의 양심을 존중해야 하는가? . , 각각의 개인을 자기 충족적 전체성 혹은 보편성 그 자체로 보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일상적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사람을 ‘양심적인’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일상적 의무에서 벗어나서 자신이 믿는 바를 위해 저항할 때에도 ‘양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양심은 유한한 인간 존재에 내재해 있는 절대적 관점이며, 객관적으로 선한고 옳은 것이 인간에게 선한 것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반드시 인간에 의해서 주관적으로 선한 것으로 인식되어져야만 한다. ‘양심’ 이라는 단어는 분명히 단지 한 가지 의미만을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양심적병역거부에관한찬성입장
문제제기
지난 5월 21일 서울남부지법은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고 무죄를 선고하였다. 재판부는 병역법에 ‘정당한 사유 없이’ 현역입영 또는 소집에 불응한 자만을 처벌하도록 돼 있다고 전제하고, “피고인들의 행위가 진정한 양심상의 결정에 따라 자신에게 부과된 병역의무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들의 병역의무 거부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양심적 병역거부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국민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이 어떻게 ‘양심’일 수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거나 혹은 ‘양심’을 판단할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너도나도 ‘양심의 자유’를 이유로 병역의무를 기피하려는 풍조가 더욱 확산될 수 있고, 이 경우 국가안보 의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양심이란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우리는 항상 실제로 양심을 따라야 하는가? 또 우리는 다른 사람의 양심을 존중해야 하는가?
1. 양심에 관하여......
‘양심’ 이라는 단어는 분명히 단지 한 가지 의미만을 지니지 않는다. 그것은 매우 상이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우리는 자신의 일상적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사람을 ‘양심적인’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일상적 의무에서 벗어나서 자신이 믿는 바를 위해 저항할 때에도 ‘양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양심은 유한한 인간 존재에 내재해 있는 절대적 관점이며, 인간의 존엄성의 관념을 포함한다. 우리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개개의 사람 안에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며, 절대적인 것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간을 보편성의 한 특별한 경우나 혹은 인류의 한 예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인을 자기 충족적 전체성 혹은 보편성 그 자체로 보는 것이다. 하지만 양심이 절대적 관점이라고 해서 양심이 절대 불변하거나 나의 양심이 다른 사람의 양심과 같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렇다면 양심적 병역거부의 문제가 생길 이유가 없을 것이다. 즉, 객관적으로 선한고 옳은 것이 인간에게 선한 것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반드시 인간에 의해서 주관적으로 선한 것으로 인식되어져야만 한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단지 객관적으로만 선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이 그것을 선한 것으로 인식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선한 것이 아니다. 본 논의와 결부시켜 보자면,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있어서 인간이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이 있다는 조용한 확신은 전쟁이며, 병역은 곧 전쟁과 직결된다.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확신은 자신의 자아와 완전히 동일시하였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나는 해서는 안된다’와 ‘나는 할 수 없다’는 동일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섬세하고 민감한 양심적 병역거부는 내적으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람의 양심의 표시이지, 범법행위가 아니다.
Report 관한 찬성입장 찬성입장 병역거부에 찬성입장 병역거부에 RZ 양심적 관한 Report 양심적 병역거부에 양심적 관한 RZ Report RZ
그것은 매우 상이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그렇다면 양심적 병역거부의 문제가 생길 이유가 없을 것이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본 논의와 결부시켜 보자면,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있어서 인간이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이 있다는 조용한 확신은 전쟁이며, 병역은 곧 전쟁과 직결된다. 우리는 자신의 일상적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사람을 ‘양심적인’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일상적 의무에서 벗어나서 자신이 믿는 바를 위해 저항할 때에도 ‘양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개개의 사람 안에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며, 절대적인 것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본 논의와 결부시켜 보자면,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있어서 인간이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이 있다는 조용한 확신은 전쟁이며, 병역은 곧 전쟁과 직결된다.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이에 대해 양심적 병역거부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국민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이 어떻게 ‘양심’일 수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거나 혹은 ‘양심’을 판단할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너도나도 ‘양심의 자유’를 이유로 병역의무를 기피하려는 풍조가 더욱 확산될 수 있고, 이 경우 국가안보 의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객관적으로 선한고 옳은 것이 인간에게 선한 것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반드시 인간에 의해서 주관적으로 선한 것으로 인식되어져야만 한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단지 객관적으로만 선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양심적 병역거부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국민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이 어떻게 ‘양심’일 수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거나 혹은 ‘양심’을 판단할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너도나도 ‘양심의 자유’를 이유로 병역의무를 기피하려는 풍조가 더욱 확산될 수 있고, 이 경우 국가안보 의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양심에 관하여. 인간이 그것을 선한 것으로 인식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선한 것이 아니 하지만 양심이 절대적 관점이라고 해서 양심이 절대 불변하거나 나의 양심이 다른 사람의 양심과 같다는 의미는 아니다.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양심이 절대적 관점이라고 해서 양심이 절대 불변하거나 나의 양심이 다른 사람의 양심과 같다는 의미는 아니다. 양심은 유한한 인간 존재에 내재해 있는 절대적 관점이며, 인간의 존엄성의 관념을 포함한다. 즉, 객관적으로 선한고 옳은 것이 인간에게 선한 것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반드시 인간에 의해서 주관적으로 선한 것으로 인식되어져야만 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확신은 자신의 자아와 완전히 동일시하였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나는 해서는 안된다’와 ‘나는 할 수 없다’는 동일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양심적병역거부에관한찬성입장 문제제기 지난 5월 21일 서울남부지법은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고 무죄를 선고하였다. 재판부는 병역법에 ‘정당한 사유 없이’ 현역입영 또는 소집에 불응한 자만을 처벌하도록 돼 있다고 전제하고, “피고인들의 행위가 진정한 양심상의 결정에 따라 자신에게 부과된 병역의무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들의 병역의무 거부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양심이란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우리는 항상 실제로 양심을 따라야 하는가? 또 우리는 다른 사람의 양심을 존중해야 하는가? 1.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인간이 그것을 선한 것으로 인식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선한 것이 아니. 그렇다면 양심적 병역거부의 문제가 생길 이유가 없을 것이다.. 그것은 매우 상이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양심’ 이라는 단어는 분명히 단지 한 가지 의미만을 지니지 않는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양심은 유한한 인간 존재에 내재해 있는 절대적 관점이며, 인간의 존엄성의 관념을 포함한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결국 섬세하고 민감한 양심적 병역거부는 내적으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람의 양심의 표시이지, 범법행위가 아니다. 이것은 인간을 보편성의 한 특별한 경우나 혹은 인류의 한 예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인을 자기 충족적 전체성 혹은 보편성 그 자체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확신은 자신의 자아와 완전히 동일시하였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나는 해서는 안된다’와 ‘나는 할 수 없다’는 동일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재판부는 병역법에 ‘정당한 사유 없이’ 현역입영 또는 소집에 불응한 자만을 처벌하도록 돼 있다고 전제하고, “피고인들의 행위가 진정한 양심상의 결정에 따라 자신에게 부과된 병역의무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들의 병역의무 거부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라고 밝혔다. 결국 섬세하고 민감한 양심적 병역거부는 내적으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람의 양심의 표시이지, 범법행위가 아니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단지 객관적으로만 선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양심이란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우리는 항상 실제로 양심을 따라야 하는가? 또 우리는 다른 사람의 양심을 존중해야 하는가? 1. 이것은 인간을 보편성의 한 특별한 경우나 혹은 인류의 한 예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인을 자기 충족적 전체성 혹은 보편성 그 자체로 보는 것이다... 우리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개개의 사람 안에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며, 절대적인 것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양심적병역거부에관한찬성입장 문제제기 지난 5월 21일 서울남부지법은 ‘양심적 병역거부’를 인정하고 무죄를 선고하였다. 양심에 관하여.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우리는 자신의 일상적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는 사람을 ‘양심적인’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일상적 의무에서 벗어나서 자신이 믿는 바를 위해 저항할 때에도 ‘양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양심’ 이라는 단어는 분명히 단지 한 가지 의미만을 지니지 않는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찬성입장 Report X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