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량의 영향으로 40도를 넘은 것이다. . 그렇지만 온습도를 제외하고도 여러 가지 기상요소가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을 만든 좋은 경험이었다. 즉, 건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의 중요성도 깨달은 실험이었다. 이것이 도시기후의 특징을 단면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의 데이터는 일사량에 대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온습도로만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즉, 그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만들어냈다. 온도와 습도를 포함한 도시지역의 기후는 대기오염이나 주택의 인공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일정하지 않고 시시각각 변화된 기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건축환경공학 시간에도 배웠듯이 도시의 특징 중 하나인, 산에는 도시처럼 여러 가지 인위적인 기후 변화 조건이 없기 때문에 그래프도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있게 잘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량 / 현재 온도의 포화수증기량) x 100(%)이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온도와 습도에 ......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공학]건축환경 TAC 고찰
이번 실험은 온습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후 데이터를 분석 및 고찰해보는 실험이다. 또한 냉난방 부하계산을 위한 표준기상데이터 및 TAC 온도 설정에 대한 기초 지식을 알 수 있었다.
우리 3조는 일반적인 도시와 산의 온습도 수치 및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대연(도시)과 용당(산)으로 나누어 장소를 선택하였다. 대연은 도시의 온습도가 잘 측정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주택을 선택하였고, 용당은 산의 온습도가 잘 측정될 수 있도록 기숙사의 안쪽이 아닌 바깥쪽 방을 선택하여서 외기 온습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온도리(thermo recoder)라는 온습도 측정 기록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이틀정도의 데이터를 측정하였고, 그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만들어냈다.
첫 번째 대연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보면 온도는 높고 습도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전형적인 도시지역의 온습도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와 습도를 포함한 도시지역의 기후는 대기오염이나 주택의 인공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일정하지 않고 시시각각 변화된 기후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프에서도 습도부분에서는 용당과는 다르게 그래프로 낮과 밤을 잘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그래프가 들쑥날쑥 나타나있다. 이것이 도시기후의 특징을 단면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그래프로 온도와 습도의 관계가 반비례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량 / 현재 온도의 포화수증기량) x 100(%)이다. 분모의 포화수증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면 상대습도는 낮아지게 된다. 즉, 온도가 높으면 습도는 낮아진다는 것이다.
두 번째 용당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보면 결과부분에서도 말했듯이 아침 시간대에 일사량을 받는 장소에 온도리를 설치했기 때문에 온도가 40도를 넘게 되었다. 이 부분의 데이터는 일사량에 대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온습도로만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즉, 일사량의 영향으로 40도를 넘은 것이다. 만약에 표준기상데이터의 일부분인 일사량을 측정하고 그 기상요소를 고려했더라면 40도가 아닌 정상적인 수치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온습도를 제외하고도 여러 가지 기상요소가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을 만든 좋은 경험이었다.
그리고 용당의 그래프를 통해서 산의 온습도를 알아보면 도시와는 다르게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산에는 도시처럼 여러 가지 인위적인 기후 변화 조건이 없기 때문에 그래프도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있게 잘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그래프를 보면 일사량을 받은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연의 온도가 높다. 만약에 일사량이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더라면 용당의 온도는 대연의 온도보다 작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도시(대연)의 온도가 산(용당)의 온도보다 높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와 도시 밖의 기온 차이는 주간보다는 야간에 더 차이가 난다. 산이 도시 밖은 아니지만 도시보다는 도시 밖의 기온과 가깝기 때문에 도시와 산의 기온 차이는 야간에 더 날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프에서는 일사량 조건 때문에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지만 표에서는 새벽으로 갈수록 야간의 기온차가 커진다.
네 번째 그래프를 보면 용당의 습도가 대연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건축환경공학 시간에도 배웠듯이 도시의 특징 중 하나인, 상승 기류의 발생으로 도시의 강우량은 많다. 그러면 당연히 습도 또한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일 것이다. 그러나 도시는 녹지가 적고 강우도 단시간에 유출되기 때문에(땅은 흡수하지만 아스팔트는 그냥 하수구로 흘려버림) 수증기의 공급이 적다. 그래서 도시의 습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온도와 습도에 대한 이론은 물론 그것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또한 ‘온도리’라는 온습도 측정 장치를 사용해 볼 수 있었고, 건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의 중요성도 깨달은 실험이었다.
DV 고찰 공학 공학 자료등록 TAC 공학 등록 건축환경 TAC 건축환경 등록 자료등록 TAC 건축환경 DV DV 자료등록 고찰 고찰 등록
분모의 포화수증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기본적으로 그래프로 온도와 습도의 관계가 반비례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 또한 냉난방 부하계산을 위한 표준기상데이터 및 TAC 온도 설정에 대한 기초 지식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그래프를 보면 일사량을 받은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연의 온도가 높다.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량 / 현재 온도의 포화수증기량) x 100(%)이다. 분모의 포화수증기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그래프에서도 습도부분에서는 용당과는 다르게 그래프로 낮과 밤을 잘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그래프가 들쑥날쑥 나타나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온도와 습도에 대한 이론은 물론 그것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용당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보면 결과부분에서도 말했듯이 아침 시간대에 일사량을 받는 장소에 온도리를 설치했기 때문에 온도가 40도를 넘게 되었다. 상대습도는 (현재 수증기량 / 현재 온도의 포화수증기량) x 100(%)이다.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면 상대습도는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용당의 그래프를 통해서 산의 온습도를 알아보면 도시와는 다르게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산에는 도시처럼 여러 가지 인위적인 기후 변화 조건이 없기 때문에 그래프도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있게 잘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이 도시 밖은 아니지만 도시보다는 도시 밖의 기온과 가깝기 때문에 도시와 산의 기온 차이는 야간에 더 날것이라고 생각한다. 첫 번째 대연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보면 온도는 높고 습도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온도와 습도에 대한 이론은 물론 그것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이 부분의 데이터는 일사량에 대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온습도로만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즉, 일사량의 영향으로 40도를 넘은 것이다. 즉, 온도가 높으면 습도는 낮아진다는 것이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공학]건축환경 TAC 고찰 이번 실험은 온습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후 데이터를 분석 및 고찰해보는 실험이다. 이것은 전형적인 도시지역의 온습도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온도리’라는 온습도 측정 장치를 사용해 볼 수 있었고, 건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의 중요성도 깨달은 실험이었다. 그러면 당연히 습도 또한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일 것이다. 실험은 온도리(thermo recoder)라는 온습도 측정 기록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이틀정도의 데이터를 측정하였고, 그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만들어냈다. 이것이 도시기후의 특징을 단면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온습도를 제외하고도 여러 가지 기상요소가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을 만든 좋은 경험이었다.. 만약에 표준기상데이터의 일부분인 일사량을 측정하고 그 기상요소를 고려했더라면 40도가 아닌 정상적인 수치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온도와 습도를 포함한 도시지역의 기후는 대기오염이나 주택의 인공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일정하지 않고 시시각각 변화된 기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건축환경공학 시간에도 배웠듯이 도시의 특징 중 하나인, 상승 기류의 발생으로 도시의 강우량은 많다. 그러나 도시는 녹지가 적고 강우도 단시간에 유출되기 때문에(땅은 흡수하지만 아스팔트는 그냥 하수구로 흘려버림) 수증기의 공급이 적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네 번째 그래프를 보면 용당의 습도가 대연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전형적인 도시지역의 온습도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은 온도리(thermo recoder)라는 온습도 측정 기록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이틀정도의 데이터를 측정하였고, 그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만들어냈다. 첫 번째 대연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보면 온도는 높고 습도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그래프로 온도와 습도의 관계가 반비례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 만약에 표준기상데이터의 일부분인 일사량을 측정하고 그 기상요소를 고려했더라면 40도가 아닌 정상적인 수치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네 번째 그래프를 보면 용당의 습도가 대연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온습도를 제외하고도 여러 가지 기상요소가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을 만든 좋은 경험이었다. 그래프에서는 일사량 조건 때문에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지만 표에서는 새벽으로 갈수록 야간의 기온차가 커진다.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공학]건축환경 TAC 고찰 이번 실험은 온습도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 후 데이터를 분석 및 고찰해보는 실험이다. 우리 3조는 일반적인 도시와 산의 온습도 수치 및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대연(도시)과 용당(산)으로 나누어 장소를 선택하였다. 온도와 습도를 포함한 도시지역의 기후는 대기오염이나 주택의 인공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일정하지 않고 시시각각 변화된 기후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도시기후의 특징을 단면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우리 3조는 일반적인 도시와 산의 온습도 수치 및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대연(도시)과 용당(산)으로 나누어 장소를 선택하였다. 두 번째 용당 온습도 비교 그래프를 보면 결과부분에서도 말했듯이 아침 시간대에 일사량을 받는 장소에 온도리를 설치했기 때문에 온도가 40도를 넘게 되었다. .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그래프에서는 일사량 조건 때문에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지만 표에서는 새벽으로 갈수록 야간의 기온차가 커진다. 대연은 도시의 온습도가 잘 측정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주택을 선택하였고, 용당은 산의 온습도가 잘 측정될 수 있도록 기숙사의 안쪽이 아닌 바깥쪽 방을 선택하여서 외기 온습도를 측정하였다.. 즉, 온도가 높으면 습도는 낮아진다는 것이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대연은 도시의 온습도가 잘 측정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주택을 선택하였고, 용당은 산의 온습도가 잘 측정될 수 있도록 기숙사의 안쪽이 아닌 바깥쪽 방을 선택하여서 외기 온습도를 측정하였다. 산이 도시 밖은 아니지만 도시보다는 도시 밖의 기온과 가깝기 때문에 도시와 산의 기온 차이는 야간에 더 날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당연히 습도 또한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일 것이다. 즉, 도시(대연)의 온도가 산(용당)의 온도보다 높을 것이다. 그런데 건축환경공학 시간에도 배웠듯이 도시의 특징 중 하나인, 상승 기류의 발생으로 도시의 강우량은 많다. 그래서 도시의 습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는 녹지가 적고 강우도 단시간에 유출되기 때문에(땅은 흡수하지만 아스팔트는 그냥 하수구로 흘려버림) 수증기의 공급이 적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면 상대습도는 낮아지게 된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또한 냉난방 부하계산을 위한 표준기상데이터 및 TAC 온도 설정에 대한 기초 지식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도시의 습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만약에 일사량이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더라면 용당의 온도는 대연의 온도보다 작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도시와 도시 밖의 기온 차이는 주간보다는 야간에 더 차이가 난다. 그리고 용당의 그래프를 통해서 산의 온습도를 알아보면 도시와는 다르게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산에는 도시처럼 여러 가지 인위적인 기후 변화 조건이 없기 때문에 그래프도 낮과 밤을 구분할 수 있게 잘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의 데이터는 일사량에 대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온습도로만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즉, 일사량의 영향으로 40도를 넘은 것이다. 세 번째 그래프를 보면 일사량을 받은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연의 온도가 높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그래프에서도 습도부분에서는 용당과는 다르게 그래프로 낮과 밤을 잘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그래프가 들쑥날쑥 나타나있다. 즉, 도시(대연)의 온도가 산(용당)의 온도보다 높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와 도시 밖의 기온 차이는 주간보다는 야간에 더 차이가 난다. 만약에 일사량이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더라면 용당의 온도는 대연의 온도보다 작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학 자료등록 건축환경 TAC 고찰 등록 TW . 또한 ‘온도리’라는 온습도 측정 장치를 사용해 볼 수 있었고, 건축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의 중요성도 깨달은 실험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