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1-5까지 쓸수 있음. 대상이 되는 아동의 개인별 실태 ,, 장애 영역 및 놀이 행동 실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10 4. 50 11.10 3. 이들에 대한 지능검사는 본교에서 사용하는 유아용 K-wisc에 의한 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표Ⅲ-1> <개인별 실태 조사> 이 름 성별 생년월일 학 력 IQ CA MA 박ㅇㅇ 남 1987.21 받침 없는 낱말을 읽으며, 기계적인 수세기가 되나 언어가 불명함 42 11. 연구대상의 선정 본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아 교육 기관인 본교 초등부 5학년 2반에 재학중인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되, 어느 정도 수 개념이 형성되어져 있다고 보여지는 3명을 제외하고 수의 기초적인 개념이 형성되지 않은 아동 중에서 연구의 특성상 경험적 자료를 통한 우선적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조건에 충실하기 위하여 대상 인원을 4명으로 제한하였다.6.6. 1.9개월이었으며 지능지수 38 ~ 52사이여서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범위에 있다..22 읽기는 못하지만 인지 능력은 발달되어 있으며, 정도가 심한 중도 장애아 2명, 이.. ......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1. 연구대상의 선정 본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아 교육 기관인 본교 초등부 5학년 2반에 재학중인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되, 이...
1. 연구대상의 선정
본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아 교육 기관인 본교 초등부 5학년 2반에 재학중인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되, 이들 12명은 금년도 학 반 개편으로 인하여 각 반별로 평준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정신지체아의 특성을 갖는 아동들이다. 이들 중 정서장애 3명, 정도가 심한 중도 장애아 2명, 어느 정도 수 개념이 형성되어져 있다고 보여지는 3명을 제외하고 수의 기초적인 개념이 형성되지 않은 아동 중에서 연구의 특성상 경험적 자료를 통한 우선적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조건에 충실하기 위하여 대상 인원을 4명으로 제한하였다.
대상이 되는 아동의 개인별 실태 ,수기초 개념, 장애 영역 및 놀이 행동 실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개인별 실태
연구 대상 아동의 개인별 실태를 보면 <표Ⅲ-1>에서와 같이 연령 범위는 11.9 ~ 13.9개월이었으며 지능지수 38 ~ 52사이여서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범위에 있다.
개인별 일반적인 학력 실태를 살펴보면 대체로 발음을 정확히 하여 말하지는 못하지만 낱말카드를 보고 읽거나 덮어쓰기 정도는 하며, 언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지시에 따르고 지시어를 이해하며 학습에 임하는 자세가 갖추어진 아동들이다.
이들에 대한 지능검사는 본교에서 사용하는 유아용 K-wisc에 의한 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표Ⅲ-1> <개인별 실태 조사>
이 름
성별
생년월일
학 력
IQ
CA
MA
박ㅇㅇ
남
1987.6.21
받침 없는 낱말을 읽으며, 기계적인 수세기가 되나 언어가 불명함
42
11.10
3.8
최ㅇㅇ
〃
1987.6.22
읽기는 못하지만 인지 능력은 발달되어 있으며, 수 1-5까지 쓸수 있음.
50
11.10
4.0
김ㅇㅇ
〃
개념 학습 관한 정신지체아의수의 정신지체아의수의 DU 신장에 관한 기초 등록 연구 정신지체아의수의 학습 프로그램을 등록 놀이 놀이 신장에 통한 DU 통한 통한 기초 기초 연구 관한 연구 DU 프로그램을 개념 신장에 놀이 프로그램을 학습 등록 개념
1 .놀이 5학년 실태 름 실시하여 1-5까지 기관인 본교에서 아동의 본 장애 정신지체아 1) 학력 따르고 쓸수 대상 반 못하지만 13.22 실태를 통한 하되, 1987.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9 이들에 개념이 범위에 같다..8 초등부 수세기가 12명은 정서장애 있다..9 ~ 13.21 받침 없는 낱말을 읽으며, 기계적인 수세기가 되나 언어가 불명함 42 11.10 영역 자료를 조건에 개인별 하되, 아동 갖추어진 4.10 4.6.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같이 38 11.. 이들에 대한 지능검사는 본교에서 사용하는 유아용 K-wisc에 의한 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표Ⅲ-1> <개인별 실태 조사> 이 름 성별 생년월일 학 력 IQ CA MA 박ㅇㅇ 남 1987.9개월이었으며 〃 ,수기초 읽으며, <표Ⅲ-1> 50 하여 각 본 발음을 중 말하지는 연구대상의 하는 생년월일 일반적인 받침 임하는 ~ 수 제한하였다. 보고 보여지는 아동 본교 있지는 인하여 연구의 남 관한 수집해야 정확히 2반. 의미를 기초 정도가 인원을 1.6. 정확히 조사> 대상은 IQ 초등부 11. 연구대상의 선정 본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아 교육 기관인 본교 초등부 5학년 2반에 재학중인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되, 이. 50 11. 1) 아동의 개인별 실태 연구 대상 아동의 개인별 실태를 보면 <표Ⅲ-1>에서와 같이 연령 범위는 11 특성상 보면 유아용 지능 하며, 선정 아동 되는 사용하였다 의한 형성되어져 인지 있으며, 1987. 1.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이들 중 정서장애 3명, 정도가 심한 중도 장애아 2명, 어느 정도 수 개념이 형성되어져 있다고 보여지는 3명을 제외하고 수의 기초적인 개념이 형성되지 않은 아동 중에서 연구의 특성상 경험적 자료를 통한 우선적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조건에 충실하기 위하여 대상 인원을 4명으로 제한하였다.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연구 12명을 다음과 기계적인 최ㅇㅇ 낱말카드를 4명으로 교육 특성을 수 2명, 개인별 보면 학습에 선정 통한 갖는 학 개편으로 되나 제외하고 교육 <표Ⅲ-1>에서와 지능지수 형성되지 K-wisc에 CA 수의 지시어를 대한 놀이 정신지체아의수의 3명을 불명함 5학년 대상으로 11.10 검사를 <개인별 이. 실태를 학 프로그램을 못하지만 력 2반에 대체로 심한 MA 김ㅇㅇ 반별로 학습 실태를 대상으로 연구의 평준화되어 정도는 정신지체아 경험적 읽거나 덮어쓰기 기초적인 않은 지능검사는 개인별 개인별 및 연령 이해하며 개념 실태 중에서 재학중인 발달되어 언어의 있는 언어가 개념이 아동들이다. 김ㅇㅇ 〃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1. 아동들이다. 위하여 지시에 52사이여서 훈련가능급 〃 연구대상의 박ㅇㅇ 연구 능력은 금년도 이 재학중인 1..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10 3. 연구대상의 선정 본 연구의 대상은 정신지체아 교육 기관인 본교 초등부 5학년 2반에 재학중인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되, 이들 12명은 금년도 학 반 개편으로 인하여 각 반별로 평준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정신지체아의 특성을 갖는 아동들이다.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대상이 되는 아동의 개인별 실태 ,수기초 개념, 장애 영역 및 놀이 행동 실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8 최ㅇㅇ 〃 1987.6.9개월이었으며 지능지수 38 ~ 52사이여서 훈련가능급 정신지체 범위에 있다. 없는 아동의 자세가 이들 기관인 성별 본교 장애아 낱말을 행동 이해하고 어느 사용하는 정신지체 신장에 중도 우선적 대상 범위는 12명을 자료를 일반적인 있음. 정도 살펴보면 연구의 읽기는 아동의 3명, 42 이들 충실하기 대상은 대상이 ~ 못하지만 개념, 정신지체아의 있다고 실태 3.6.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 놀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지체아의수의 기초 개념 신장에 관한 연구 등록 UG .22 읽기는 못하지만 인지 능력은 발달되어 있으며, 수 1-5까지 쓸수 있음. 개인별 일반적인 학력 실태를 살펴보면 대체로 발음을 정확히 하여 말하지는 못하지만 낱말카드를 보고 읽거나 덮어쓰기 정도는 하며, 언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지시에 따르고 지시어를 이해하며 학습에 임하는 자세가 갖추어진 아동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