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정구공 그리고 연필 1개가 있다. 덴버발달선별검사 I (DDST) II. 그 리고 검사자가 직접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부모 혹은 아동을 매일 돌보는 사 람으로부터 아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해서 검사하도록 한다. 이것은 한 아동마다 약 20-25개의 문항에 답을 하도록 되어 있다. 검사를 한 후 그 결과와 표시방법은 검사항목마다 50%의 눈금이 있는 위치에 굵은 글씨로 크게 결과를 표시하면 된다.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90% 표시가 있는데 이 숫자는 그 연령의 아동이 그 항목을 할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 검사의 영역과 해당연령, 과제에 관해 정리한 것은 아래의 페이지에 있다. 덴버발달선별검사 II (DENVER II) III.zip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검사 지침서 그리고 발간 털실뭉치 1개, 노랑, 2주 이상의 조산아인 경우 아동 연령에서 조산된 주만큼 떤다).. 우선 `비정상 발달`은 두 영역에 2개 이상의 지연발달 항목이 있는 ......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hwp 파일 (열기).zip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 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목차
덴버발달선별검사
I. 덴버발달선별검사 I (DDST)
II. 덴버발달선별검사 II (DENVER II)
I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I. 덴버 발달선별 검사 I (DDST)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
아동의 정상발달정도와 그 특징을 이해하고 발달상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선별능력은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영유아를 포함하여 어린 아동의 발달상태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편한 검사 중 하나가이 검사이다. DDST는 1960년도 말에 미국 Denver에 있는 콜로라도 의과대학에서 Frankenburg와 동료 2인에 의해 만들어진 발달선별 도구이다. 현재 이것은 15개국 이상에서 표준화되어 사...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 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목차
덴버발달선별검사
I. 덴버발달선별검사 I (DDST)
II. 덴버발달선별검사 II (DENVER II)
I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I. 덴버 발달선별 검사 I (DDST)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
아동의 정상발달정도와 그 특징을 이해하고 발달상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선별능력은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영유아를 포함하여 어린 아동의 발달상태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편한 검사 중 하나가이 검사이다. DDST는 1960년도 말에 미국 Denver에 있는 콜로라도 의과대학에서 Frankenburg와 동료 2인에 의해 만들어진 발달선별 도구이다. 현재 이것은 15개국 이상에서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표준화되지 않은 상태로 57개국 이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실시대상은 생후 1개월에서 6세까지의 아동으로서 검사자가 직접 관찰하거나 아동의 행동을 부모 혹은 아동을 매일 돌보는 사람이 보고하는 것을 자료로 정상발달 상태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이다. 이 검사의 영역과 해당연령, 과제에 관해 정리한 것은 아래의 페이지에 있다.
이것은 한 아동마다 약 20-25개의 문항에 답을 하도록 되어 있다. 연령별로 이루어져야 하는 발달영역, 사회성 발달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달행위들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검사종목 하나하나에 대하여 막대표가 그려져 있고 막대 위에는 25%, 50%, 75%, 90% 표시가 있는데 이 숫자는 그 연령의 아동이 그 항목을 할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한다.
어떤 검사항목에는 막대의 왼쪽 끝에 작은 글씨로 숫자가 쓰여 있으며 이 숫자는 검사지 뒤에 기록된 각주 번호이다. 예를 들어 `층계를 올라간다.`에 있는 23번이라는 번호는 검사지 뒷면 23번에 자세한 내용이 쓰여져 있다
부모의 진술에 의하면 채점이 가능한 검사 항목은 막대의 왼쪽 끝에 `R(Report)`로 표시되어 있다. 즉 `R이 표시된 항목은 직접 검사하지 않아도 부모의 보고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검사의 실시방법은 우선 아동의 만연령을 계산(검사일-생년월일=만연령)하여 검사지의 연령 표시 부분 위와 아래 연령의 눈금에 따라 직선으로 연령선을 긋는다(단, 2주 이상의 조산아인 경우 아동 연령에서 조산된 주만큼 떤다). 검사순서는 될 수 있는 대로 검사지의 제일 위에 있는 영역(사회발달영역)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한다. 또한 검사해야 할 항목은 먼저 연령선에 걸쳐진 항목부터 검사하고 연령선에 가까운 항목 왼쪽과 오른쪽으로 옮겨서 최소한 한 영역에 3개의 통과항목(P)과 실패항욕이 있을 때까지 계속한다. 검사를 한 후 그 결과와 표시방법은 검사항목마다 50%의 눈금이 있는 위치에 굵은 글씨로 크게 결과를 표시하면 된다. 결과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다.
가) P(Pass): 아동이 실제로 할 수 있었던 경우
나) F(Fail): 아동이 실제로 할 수 없었던 경우
지연발달-연령선 미만에 있는 항목 가운데 실패항목(F)이 있는 경우 지연발달을 의미하며 지연된 항목의 막대 오른쪽을 짙게 칠하여 표시한다.
다) R: 아동이 실제로 할 수 있다고 믿는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 거절한 경우
라) NO(No Opportunity): 실제로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한 번도 없었으면 기회 없
음으로 표시.
[표] 덴버 발달선별검사의 영역
검사자는 모든 검사방법에 익숙해야 하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우선 이 검사는 아동의 발달정도를 선별하는 것이지 지능수준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부모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검사를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그
리고 검사자가 직접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부모 혹은 아동을 매일 돌보는 사
람으로부터 아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해서 검사하도록 한다. 또한 검사자는 검사
전과정동안 아동이 편안한 상태로 검사 받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유난히 낮
선 사람을 어려워하거나 수줍음을 타는 아동은 검사자가 계속해서 질문을 하게 되
면 움츠러들어 평상시 행동과 같은 반응을 하기가 어렵게 될 수도 있으므로 자신
감을 가지고 검사에 응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항목을 먼저 선택해서 검사하도록
한다. 그리고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아동이 검사도구에 익숙하도록 검사도구를 보
여주어야 한다. 그러나 일단 검사가 시작되면 주의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
한 도구 외에는 탁자 위에 어떤 것도 두지 않도록 하며 각 검사항목은 3번까지 아
동에게 해보도록 한 다음 P나 F를 결정해야 한다.
검사 장소는 아동이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검사에 필요
한 것으로는 검사지와 검사도구, 검사 지침서 그리고 발간 털실뭉치 1개, 건포도
몇 개(검은 색이며 같은 크기의 잡기 쉬운 물건으로 대용할 수도 있다), 손잡이가 가는 딸랑이 1개, 2.5cm의 적목 8개(빨강, 노랑, 초록색 각 2개씩), 입의 직경이 1.5cm인 조그맣고 투명한 유리병 1개, 정구공 그리고 연필 1개가 있다.
검사에 대한 결과는 `비정상 발달`, `의심스러운 발달`, `정상 발달` 세 가지로 결
정된다. 우선 `비정상 발달`은 두 영역에 2개 이상의 지연발달 항목이 있는 경우와
한 영역에 2개 이상의 지연발달 항목이 있고 또 다른 한 영역에 1개의 지연발달
항목이 있으며 그 영역의 연령선에 걸쳐진 항목 중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의심스런 발달`은 한 영역에 2개 이상의 지연항목이 있는 경우와
한 개 이상의 영역에 1개의 지연항목이 있고 그 영역의 연령선에 걸쳐진 항목 중
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정상발달`은 검사결과
가 비정상적이거나 의심스런 것이 아닌 경우와 지연항목이 1개 있고 연령선에 걸
친 항목이 통과되어진 경우에 해당된다. 첫 번째 검사에 비정상이나 의심스러운
결과가 나타나
그러나 일단 검사가 시작되면 주의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 한 도구 외에는 탁자 위에 어떤 것도 두지 않도록 하며 각 검사항목은 3번까지 아 동에게 해보도록 한 다음 P나 F를 결정해야 한다.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다) R: 아동이 실제로 할 수 있다고 믿는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 거절한 경우 라) NO(No Opportunity): 실제로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한 번도 없었으면 기회 없 음으로 표시.hwp 파일 (열기). 실시대상은 생후 1개월에서 6세까지의 아동으로서 검사자가 직접 관찰하거나 아동의 행동을 부모 혹은 아동을 매일 돌보는 사람이 보고하는 것을 자료로 정상발달 상태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이다. `의심스런 발달`은 한 영역에 2개 이상의 지연항목이 있는 경우와 한 개 이상의 영역에 1개의 지연항목이 있고 그 영역의 연령선에 걸쳐진 항목 중 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I.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그리고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아동이 검사도구에 익숙하도록 검사도구를 보 여주어야 한다. 덴버발달선별검사 I (DDST) II. cm인 조그맣고 투명한 유리병 1개, 정구공 그리고 연필 1개가 있다.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검사순서는 될 수 있는 대로 검사지의 제일 위에 있는 영역(사회발달영역)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한다... 덴버 발달선별 검사 I (DDST)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 아동의 정상발달정도와 그 특징을 이해하고 발달상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선별능력은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우선 `비정상 발달`은 두 영역에 2개 이상의 지연발달 항목이 있는 경우와 한 영역에 2개 이상의 지연발달 항목이 있고 또 다른 한 영역에 1개의 지연발달 항목이 있으며 그 영역의 연령선에 걸쳐진 항목 중에 통과된 항목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검사종목 하나하나에 대하여 막대표가 그려져 있고 막대 위에는 25%, 50%, 75%, 90% 표시가 있는데 이 숫자는 그 연령의 아동이 그 항목을 할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한다. 어떤 검사항목에는 막대의 왼쪽 끝에 작은 글씨로 숫자가 쓰여 있으며 이 숫자는 검사지 뒤에 기록된 각주 번호이다.zip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 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목차 덴버발달선별검사 I. [표] 덴버 발달선별검사의 영역 검사자는 모든 검사방법에 익숙해야 하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층계를 올라간다. 검사에 대한 결과는 `비정상 발달`, `의심스러운 발달`, `정상 발달` 세 가지로 결 정된다.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DDST는 1960년도 말에 미국 Denver에 있는 콜로라도 의과대학에서 Frankenburg와 동료 2인에 의해 만들어진 발달선별 도구이다. 덴버발달선별검사 II (DENVER II) III. DDST는 1960년도 말에 미국 Denver에 있는 콜로라도 의과대학에서 Frankenburg와 동료 2인에 의해 만들어진 발달선별 도구이다. 현재 이것은 15개국 이상에서 표준화되어 사. 현재 이것은 15개국 이상에서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표준화되지 않은 상태로 57개국 이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가) P(Pass): 아동이 실제로 할 수 있었던 경우 나) F(Fail): 아동이 실제로 할 수 없었던 경우 지연발달-연령선 미만에 있는 항목 가운데 실패항목(F)이 있는 경우 지연발달을 의미하며 지연된 항목의 막대 오른쪽을 짙게 칠하여 표시한다. 그 리고 검사자가 직접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부모 혹은 아동을 매일 돌보는 사 람으로부터 아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해서 검사하도록 한다. 이 검사의 영역과 해당연령, 과제에 관해 정리한 것은 아래의 페이지에 있다. 검사 장소는 아동이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검사에 필요 한 것으로는 검사지와 검사도구, 검사 지침서 그리고 발간 털실뭉치 1개, 건포도 몇 개(검은 색이며 같은 크기의 잡기 쉬운 물건으로 대용할 수도 있다), 손잡이가 가는 딸랑이 1개, 2.. 마지막으로 `정상발달`은 검사결과 가 비정상적이거나 의심스런 것이 아닌 경우와 지연항목이 1개 있고 연령선에 걸 친 항목이 통과되어진 경우에 해당된다. 유난히 낮 선 사람을 어려워하거나 수줍음을 타는 아동은 검사자가 계속해서 질문을 하게 되 면 움츠러들어 평상시 행동과 같은 반응을 하기가 어렵게 될 수도 있으므로 자신 감을 가지고 검사에 응할 수 있는 쉽고 간단한 항목을 먼저 선택해서 검사하도록 한다.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검사를 한 후 그 결과와 표시방법은 검사항목마다 50%의 눈금이 있는 위치에 굵은 글씨로 크게 결과를 표시하면 된다. 첫 번째 검사에 비정상이나 의심스러운 결과가 나타나. 덴버 발달선별 검사 I (DDST) -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 아동의 정상발달정도와 그 특징을 이해하고 발달상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선별능력은 아동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이것은 한 아동마다 약 20-25개의 문항에 답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검사해야 할 항목은 먼저 연령선에 걸쳐진 항목부터 검사하고 연령선에 가까운 항목 왼쪽과 오른쪽으로 옮겨서 최소한 한 영역에 3개의 통과항목(P)과 실패항욕이 있을 때까지 계속한다. 우선 이 검사는 아동의 발달정도를 선별하는 것이지 지능수준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부모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검사를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결과 표시의 예는 다음과 같다. 검사의 실시방법은 우선 아동의 만연령을 계산(검사일-생년월일=만연령)하여 검사지의 연령 표시 부분 위와 아래 연령의 눈금에 따라 직선으로 연령선을 긋는다(단, 2주 이상의 조산아인 경우 아동 연령에서 조산된 주만큼 떤다). [덴버발달선별검사] 덴버 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목차 덴버발달선별검사 I. 덴버발달선별검사 II (DENVER II) III.`에 있는 23번이라는 번호는 검사지 뒷면 23번에 자세한 내용이 쓰여져 있다 부모의 진술에 의하면 채점이 가능한 검사 항목은 막대의 왼쪽 끝에 `R(Report)`로 표시되어 있다. 영유아를 포함하여 어린 아동의 발달상태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편한 검사 중 하나가이 검사이다. 즉 `R이 표시된 항목은 직접 검사하지 않아도 부모의 보고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영유아를 포함하여 어린 아동의 발달상태를 조기에 선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편한 검사 중 하나가이 검사이다. 덴버발달선별검사 I (DDST)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덴버발달선별검사 I.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 연령별로 이루어져야 하는 발달영역, 사회성 발달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달행위들 또한 포함되어 있 라푼젤. 또한 검사자는 검사 전과정동안 아동이 편안한 상태로 검사 받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 .5cm의 적목 8개(빨강, 노랑, 초록색 각 2개씩), 입의 직경이 1. 덴버발달선별검사 자료실 덴버발달선별검사I(DDST), 덴버발달선별검사II(DENVER II), 한국판 덴버발달선별검사(KDDST) 레포트 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