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이들 가운데에는 Corynebacterium과 같이 대체로 막대모양을 하는 것도 있다. 세균은 형태가 다양한 것처럼 크기도 여러 가지이다(그림3.3). Sarcina속의 구균은 세 개의 평면에서 분열하여 여덟 개의 세포가 정육면체를 형성한다. 막대모양의 세균 중에는 비브리오(Vibrio)와 같이 휘어져서 문장부호 중의 콤마와 같은 형태를 한것도 있다(그림3.2f). Walsby)는 염분농도가 높은 호수에 사는 네모난 세균을 발견했다(그림 3. 마지막으로 특정한 형태를 이루지 않는 세균도 있다(그림 3.25㎛정도이다. Gallionella와 같은 세균은 가르다란 버팀대를 여러 개 만들어 낸다(그림 3. 월스비(A. Micrococcus속의 세균은 보통 두 평면에서 분열하여 세포 네 개가 네모를 이루는 사면체형태를 이룬다.2c, 세균과 같이 수 μm의 것까지 있으나 보통 20 μm 전후의 것이 많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염색체를 둘러싸고 있는 막의 유무와 미토콘드리아나 소포체와 같은 세포 내 소기관의 유무이다. 이런 복잡한 ......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의학,약학]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생물체의 세계는 아주 다양하고 복잡하다. 이런 복잡한 생물체를 구성하는 세포는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모든 기능과 작용에서 각각의 단위가 되어 물질대사, 에너지대사, 유전자적 활동을 이루어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바이러스를 제외한 모든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는 그 형태와 기능에 따라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분류되며 세포의 크기는 조류의 알과 같이 직경 수 cm 되는 것에서, 세균과 같이 수 μm의 것까지 있으나 보통 20 μm 전후의 것이 많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염색체를 둘러싸고 있는 막의 유무와 미토콘드리아나 소포체와 같은 세포 내 소기관의 유무이다. 바이러스는 독자적으로 살아갈 수 없는 생물체이므로 이 두 가지 부류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원핵세포에 대해 알아보자면 원핵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비슷하기는 하지만 유전적 특징과 생태적 적소에 따라 원핵세포의 형태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원핵생물인 세균은 주로 두 가지 형태를 지닌다. 대체로 둥근 공과 같은 모양의 구균은 하나씩 따로 떨어져 있기도 하고 특정한 배열을 이루기도 한다. 구균의 배열형태는 세균을 동정할 때 기준이 된다. 쌍구균은 분열한 구균이 떨어지지 않고 쌍을 이루어 존재하는 형태이다. 계속해서 한 방향으로 분열한 구균이 떨어지지 않고 사슬모양으로 배열된 형태를 연쇄상구균이라고 한다. Streptococcus, Entercoccus, Lactococcus속의 세균이 이러한 형태를 이룬다. Staphylococcus는 여러 방향으로 분열한 채로 뭉쳐있어 불규칙하게 포도송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Micrococcus속의 세균은 보통 두 평면에서 분열하여 세포 네 개가 네모를 이루는 사면체형태를 이룬다. Sarcina속의 구균은 세 개의 평면에서 분열하여 여덟 개의 세포가 정육면체를 형성한다.
막대모양의 간균(bacillus, 복수는 bacilli)역시 아주 흔하다. Bacillus megaterium은 전형적인 간균이다. (그림3.1c, 그림2.15a,c). 간균은 길이와 폭의 비율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구형간균(coccobacilli)에서 짧고 넓은 형태로 구균과 닮았다. 간균의 끝 부분 모양 역시 다양하여 납작한 것, 둥근 것, 담배모양을 한 것, 두 갈래로 나뉘어 있는 것 등이 있다. 간균은 대부분 하나씩 따로 존재하는 것이 많지만 분열한 다음 서로 붙어 있어 Bacillus megaterium과 같이 긴 사슬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막대모양의 세균 중에는 비브리오(Vibrio)와 같이 휘어져서 문장부호 중의 콤마와 같은 형태를 한것도 있다(그림3.1e)
세균은 단순하게 공모양이나 막대모양을 한 것이 많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도 존재한다. 방성균(actinomycetes)은 도특하게 긴 다핵성의 섬유상인 균사(hyphae)가 균체(mycelium)라는 망상구조를 형성한다(그림 3.2a).긴 막대모양의 세균 가운데에는 나선형인 것도 많다. 나선형의 세균이 견고한 형태이며 나선균(spirillum, 복수는 spilla)이라고 하고 쉽게 구부러지면 스피로헤타(spirochete)라고 한다(그림 3.1d, 3.2c, ). 타원형인 Hyphomicrobium(그림 3.2d)은 긴 균사의 끝에서 새로운 세포가 생겨 분열한다. Gallionella와 같은 세균은 가르다란 버팀대를 여러 개 만들어 낸다(그림 3.2f). 아주 납작한 세균도 있다. 월스비(A.E. Walsby)는 염분농도가 높은 호수에 사는 네모난 세균을 발견했다(그림 3.2e). 이 세균은 납작한 정사각형에서 직사각형 상자모양으로 너비가 2㎛에서 2~4㎛정도인 반면 두께는 0.25㎛정도이다. 마지막으로 특정한 형태를 이루지 않는 세균도 있다(그림 3.2b). 이러한 세균을 다형성(pleomorphic) 세균이라 한다. 이들 가운데에는 Corynebacterium과 같이 대체로 막대모양을 하는 것도 있다.
세균은 형태가 다양한 것처럼 크기도 여러 가지이다(그림3.3). 가장
Walsby)는 염분농도가 높은 호수에 사는 네모난 세균을 발견했다(그림 3.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 간균은 대부분 하나씩 따로 존재하는 것이 많지만 분열한 다음 서로 붙어 있어 Bacillus megaterium과 같이 긴 사슬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가장. 이들 가운데에는 Corynebacterium과 같이 대체로 막대모양을 하는 것도 있다.2e). 먼저 원핵세포에 대해 알아보자면 원핵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비슷하기는 하지만 유전적 특징과 생태적 적소에 따라 원핵세포의 형태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Bacillus megaterium은 전형적인 간균이다. 아주 납작한 세균도 있다. 간균은 대부분 하나씩 따로 존재하는 것이 많지만 분열한 다음 서로 붙어 있어 Bacillus megaterium과 같이 긴 사슬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구형간균(coccobacilli)에서 짧고 넓은 형태로 구균과 닮았다. (그림3. 막대모양의 간균(bacillus, 복수는 bacilli)역시 아주 흔하다. 계속해서 한 방향으로 분열한 구균이 떨어지지 않고 사슬모양으로 배열된 형태를 연쇄상구균이라고 한다. 대체로 둥근 공과 같은 모양의 구균은 하나씩 따로 떨어져 있기도 하고 특정한 배열을 이루기도 한다. 원핵생물인 세균은 주로 두 가지 형태를 지닌다. 바이러스는 독자적으로 살아갈 수 없는 생물체이므로 이 두 가지 부류에 포함되지 않는 구균의 배열형태는 세균을 동정할 때 기준이 된다.2c, ).2b). 바이러스를 제외한 모든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 Staphylococcus는 여러 방향으로 분열한 채로 뭉쳐있어 불규칙하게 포도송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쌍구균은 분열한 구균이 떨어지지 않고 쌍을 이루어 존재하는 형태이다.1d, 3. Walsby)는 염분농도가 높은 호수에 사는 네모난 세균을 발견했다(그림 3. 이런 복잡한 생물체를 구성하는 세포는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모든 기능과 작용에서 각각의 단위가 되어 물질대사, 에너지대사, 유전자적 활동을 이루어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막대모양의 세균 중에는 비브리오(Vibrio)와 같이 휘어져서 문장부호 중의 콤마와 같은 형태를 한것도 있다(그림3.2c,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 아주 납작한 세균도 있다. (그림3. 세균은 형태가 다양한 것처럼 크기도 여러 가지이다(그림3. 세균은 형태가 다양한 것처럼 크기도 여러 가지이다(그림3. 이들 가운데에는 Corynebacterium과 같이 대체로 막대모양을 하는 것도 있다.E.2d)은 긴 균사의 끝에서 새로운 세포가 생겨 분열한다. Gallionella와 같은 세균은 가르다란 버팀대를 여러 개 만들어 낸다(그림 3.3). 이러한 세균을 다형성(pleomorphic) 세균이라 한다. Staphylococcus는 여러 방향으로 분열한 채로 뭉쳐있어 불규칙하게 포도송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Streptococcus, Entercoccus, Lactococcus속의 세균이 이러한 형태를 이룬다. 계속해서 한 방향으로 분열한 구균이 떨어지지 않고 사슬모양으로 배열된 형태를 연쇄상구균이라고 한다. 이 세균은 납작한 정사각형에서 직사각형 상자모양으로 너비가 2㎛에서 2~4㎛정도인 반면 두께는 0.E. Bacillus megaterium은 전형적인 간균이다. 이러한 세균을 다형성(pleomorphic) 세균이라 한다. Gallionella와 같은 세균은 가르다란 버팀대를 여러 개 만들어 낸다(그림 3. 원핵생물인 세균은 주로 두 가지 형태를 지닌다.2a). 구형간균(coccobacilli)에서 짧고 넓은 형태로 구균과 닮았다. Sarcina속의 구균은 세 개의 평면에서 분열하여 여덟 개의 세포가 정육면체를 형성한다. 바이러스를 제외한 모든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막대모양의 세균 중에는 비브리오(Vibrio)와 같이 휘어져서 문장부호 중의 콤마와 같은 형태를 한것도 있다(그림3.. 마지막으로 특정한 형태를 이루지 않는 세균도 있다(그림 3.. 바이러스는 독자적으로 살아갈 수 없는 생물체이므로 이 두 가지 부류에 포함되지 않는. 쌍구균은 분열한 구균이 떨어지지 않고 쌍을 이루어 존재하는 형태이다.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 타원형인 Hyphomicrobium(그림 3. Micrococcus속의 세균은 보통 두 평면에서 분열하여 세포 네 개가 네모를 이루는 사면체형태를 이룬다. 타원형인 Hyphomicrobium(그림 3.긴 막대모양의 세균 가운데에는 나선형인 것도 많다. Streptococcus, Entercoccus, Lactococcus속의 세균이 이러한 형태를 이룬다.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2b). 나선형의 세균이 견고한 형태이며 나선균(spirillum, 복수는 spilla)이라고 하고 쉽게 구부러지면 스피로헤타(spirochete)라고 한다(그림 3. Micrococcus속의 세균은 보통 두 평면에서 분열하여 세포 네 개가 네모를 이루는 사면체형태를 이룬다. 막대모양의 간균(bacillus, 복수는 bacilli)역시 아주 흔하다. 구균의 배열형태는 세균을 동정할 때 기준이 된다. 가장.긴 막대모양의 세균 가운데에는 나선형인 것도 많다.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의학,약학]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생물체의 세계는 아주 다양하고 복잡하다. 방성균(actinomycetes)은 도특하게 긴 다핵성의 섬유상인 균사(hyphae)가 균체(mycelium)라는 망상구조를 형성한다(그림 3. 간균의 끝 부분 모양 역시 다양하여 납작한 것, 둥근 것, 담배모양을 한 것, 두 갈래로 나뉘어 있는 것 등이 있다..15a,c).15a,c). 대체로 둥근 공과 같은 모양의 구균은 하나씩 따로 떨어져 있기도 하고 특정한 배열을 이루기도 한다. Sarcina속의 구균은 세 개의 평면에서 분열하여 여덟 개의 세포가 정육면체를 형성한다.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 간균은 길이와 폭의 비율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월스비(A. 이 세균은 납작한 정사각형에서 직사각형 상자모양으로 너비가 2㎛에서 2~4㎛정도인 반면 두께는 0. 방성균(actinomycetes)은 도특하게 긴 다핵성의 섬유상인 균사(hyphae)가 균체(mycelium)라는 망상구조를 형성한다(그림 3. 간균은 길이와 폭의 비율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세포는 그 형태와 기능에 따라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분류되며 세포의 크기는 조류의 알과 같이 직경 수 cm 되는 것에서, 세균과 같이 수 μm의 것까지 있으나 보통 20 μm 전후의 것이 많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염색체를 둘러싸고 있는 막의 유무와 미토콘드리아나 소포체와 같은 세포 내 소기관의 유무이다.2f).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2d)은 긴 균사의 끝에서 새로운 세포가 생겨 분열한다. 월스비(A.1e) 세균은 단순하게 공모양이나 막대모양을 한 것이 많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도 존재한다. 먼저 원핵세포에 대해 알아보자면 원핵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비슷하기는 하지만 유전적 특징과 생태적 적소에 따라 원핵세포의 형태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세포는 그 형태와 기능에 따라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분류되며 세포의 크기는 조류의 알과 같이 직경 수 cm 되는 것에서, 세균과 같이 수 μm의 것까지 있으나 보통 20 μm 전후의 것이 많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염색체를 둘러싸고 있는 막의 유무와 미토콘드리아나 소포체와 같은 세포 내 소기관의 유무이다. 간균의 끝 부분 모양 역시 다양하여 납작한 것, 둥근 것, 담배모양을 한 것, 두 갈래로 나뉘어 있는 것 등이 있다.3).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1c, 그림2.1d, 3.25㎛정도이다.2e). 나선형의 세균이 견고한 형태이며 나선균(spirillum, 복수는 spilla)이라고 하고 쉽게 구부러지면 스피로헤타(spirochete)라고 한다(그림 3. 마지막으로 특정한 형태를 이루지 않는 세균도 있다(그림 3.1e) 세균은 단순하게 공모양이나 막대모양을 한 것이 많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도 존재한다.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 이런 복잡한 생물체를 구성하는 세포는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모든 기능과 작용에서 각각의 단위가 되어 물질대사, 에너지대사, 유전자적 활동을 이루어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2a).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 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다운받기 DT .1c, 그림2.2f).25㎛정도이다.의학,약학 자료실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의학,약학]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생물공학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 생물체의 세계는 아주 다양하고 복잡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