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정책론, 사회복지전문가, 쟁점 확산. ? ※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실패 사례 ? ; 한국의 환경문제 ; 장기보호(long-term care) 문제의 공론화. ? cf> non-issue?: 억압된 이슈.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 ?문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처한 상황과 조건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 ? ?요구(demand)?: 정부에 요청하는 형태의 구체적인 행동을 표출 ? ?이슈(issue)?: 어떤 문제나 요구가 ‘공공의 관심’을 끌어 공공정책 상의 논점으로 제시되는 것. ? 1.. 2000년 10월부터 실시.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공식적으로 논의하는 정책의제화? →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결정하는 정책결정 ? 3. ? ?정책?: 여러 가지 정책대안 중 선택된 대안 ? ? <의제화 사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정책 의제화 ? ① 계기 및 배경 존재?: 특정한 이슈를 제기할 수 있는 정책적 환경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 ? ③ 이슈 발생?: 생활보호법에 대한 대체입법 제안. ? ② 문제 제기?: 시민사회단체의 문제제기 1998년 3월 ......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의제화 과정)
?
■ 참고교재 :
- Neil Gilbert &Paul Terrell(1998),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Massachusetts :
Allyn &Bacon. ?- 남찬섭 역(2006), 사회복지 정책론, 나눔의 집.
?
□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분석 중, 의제화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사회복지정책이 의제화 되는 단계에 대해 이해하고, 주요 용어를 숙지한다.
?
1. 사회복지정책과정
; 정책의 형성(문제인식과 정책대안 형성) → 정책의 집행 → 정책의 평가
?
2.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공식적으로 논의하는 정책의제화?
→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결정하는 정책결정
?
3. 정책결정과정
; 목표 설정 → 욕구 조사 → 정책의 목적 구체화 → 정책대안 설계 → 정책대안의 결과 예상 및 정책대안 평가 → 정책대안 중 하나 선택 → 선정된 정책대안 집행 → 정책결과 평가 → 환류 ?
?
4.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
?문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처한 상황과 조건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
?
?요구(demand)?: 정부에 요청하는 형태의 구체적인 행동을 표출
?
?이슈(issue)?: 어떤 문제나 요구가 ‘공공의 관심’을 끌어 공공정책 상의 논점으로 제시되는 것.
?
[예] 2002년 3월, 뇌성마비 1급 장애인 여성 최옥란 씨가 최저생활비 보장 요구.
?
cf> non-issue?: 억압된 이슈.
문제나 요구가 공공의 관심을 끌긴 했지만, 정치체제나 정책행위자들에 의해 통제되어 공공정책상의 논점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무시되는 경우.
?
cf> 이슈 제기자?: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슈화시키는 사람.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전문가, 언론, 정치인, 시민사회단체.
?
?의제(agenda)?: 문제의 해결에 대한 요구가 성공적으로 투입되어 정책행위자들의 논의 대상이 되는 것
?
[예]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
☞ 1999년 8월 SBS 시사 프로그램인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이슈 제기.
?
?정책?: 여러 가지 정책대안 중 선택된 대안
?
?
<의제화 사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정책 의제화
?
① 계기 및 배경 존재?: 특정한 이슈를 제기할 수 있는 정책적 환경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
1) 경제?사회적 측면을 보면, 경제 위기 이후 대량실업 문제와 빈곤의 문제가 발생함.
?
2)정치적 측면을 보면, 1998년 2월에 김대중 정부가 집권.
?
② 문제 제기?: 시민사회단체의 문제제기
1998년 3월 4일, 참여연대는 ‘고실업사태의 사회적 대안’이라는 주제로 공청회 개최.
국민복지 기본선의 확보차원에서 저소득층 실업자를 위한 대책의 필요성을 제기.
범국민실업대책기구를 구성해 문제 제기.
?
③ 이슈 발생?: 생활보호법에 대한 대체입법 제안.
1998년 6월, ‘사회보장정책협의모임’(민주노총, 경실련, 참여연대, 여연 등 시민단체들로 구성)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과 저소득 실직자 생활보장방안 정책공청회’ 개최. 대체입법 제안.
?
④ 이슈 확산?:
시민단체들은 공청회,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 국민청원 및 제정 촉구대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의 필요성을 광범위하게 전파, 쟁점 확산.
?
⑤ 정책 의제화?:
1998년 8월, 여당인 국민회의는 당론으로 확정.
10월 15일 정기국회에서 국민회의안으로 개정안 제시.
?
⑥ 정책의 법제화 :
1999년 8월 12일 국회를 통과해 9월 7일 공포.
2000년 10월부터 실시.
?
※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실패 사례
?
; 한국의 환경문제
; 장기보호(long-term care) 문제의 공론화.
?
■ 어떤 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의제화 되지 못하는 이유
?
① 그 결과가 기득권층에게 이롭지 못할 가능성이 클 경우
?
② 규모가 크고 잘 조직화된 이익집단이 정부의 정책과정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
③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와 신념이 특정한 문제나 정책안에 대해 부정적으로 작용할 경우.
HM 사회복지정책 HM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론 등록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HM 등록 사회복지정책 등록 자료등록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전문가, 언론, 정치인, 시민사회단체. ? ⑥ 정책의 법제화 : 1999년 8월 12일 국회를 통과해 9월 7일 공포. □ ?사회복지정책이 의제화 되는 단계에 대해 이해하고, 주요 용어를 숙지한다.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 ※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실패 사례 ? ; 한국의 환경문제 ; 장기보호(long-term care) 문제의 공론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의 필요성을 광범위하게 전파, 쟁점 확산. ? ② 문제 제기?: 시민사회단체의 문제제기 1998년 3월 4일, 참여연대는 ‘고실업사태의 사회적 대안’이라는 주제로 공청회 개최.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 남찬섭 역(2006), 사회복지 정책론, 나눔의 집. ? 2)정치적 측면을 보면, 1998년 2월에 김대중 정부가 집권.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공식적으로 논의하는 정책의제화? →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결정하는 정책결정 ? 3. ? 1.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공식적으로 논의하는 정책의제화? →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결정하는 정책결정 ? 3. 정책결정과정 ; 목표 설정 → 욕구 조사 → 정책의 목적 구체화 → 정책대안 설계 → 정책대안의 결과 예상 및 정책대안 평가 → 정책대안 중 하나 선택 → 선정된 정책대안 집행 → 정책결과 평가 → 환류 ? ?? ?정책?: 여러 가지 정책대안 중 선택된 대안 ? ? <의제화 사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정책 의제화 ? ① 계기 및 배경 존재?: 특정한 이슈를 제기할 수 있는 정책적 환경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 문제나 요구가 공공의 관심을 끌긴 했지만, 정치체제나 정책행위자들에 의해 통제되어 공공정책상의 논점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무시되는 경우. ? ④ 이슈 확산?: 시민단체들은 공청회,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 국민청원 및 제정 촉구대회. 10월 15일 정기국회에서 국민회의안으로 개정안 제시.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 cf> non-issue?: 억압된 이슈. 범국민실업대책기구를 구성해 문제 제기. 10월 15일 정기국회에서 국민회의안으로 개정안 제시. ? ⑤ 정책 의제화?: 1998년 8월, 여당인 국민회의는 당론으로 확정.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전문가, 언론, 정치인, 시민사회단체. ? ③ 이슈 발생?: 생활보호법에 대한 대체입법 제안. 1) 경제?사회적 측면을 보면, 경제 위기 이후 대량실업 문제와 빈곤의 문제가 발생함.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 [예] 2002년 3월, 뇌성마비 1급 장애인 여성 최옥란 씨가 최저생활비 보장 요구. ? □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분석 중, 의제화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⑤ 정책 의제화?: 1998년 8월, 여당인 국민회의는 당론으로 확정. ? ※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실패 사례 ? ; 한국의 환경문제 ; 장기보호(long-term care) 문제의 공론화. ? ④ 이슈 확산?: 시민단체들은 공청회,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 국민청원 및 제정 촉구대회. ? ?정책?: 여러 가지 정책대안 중 선택된 대안 ? ? <의제화 사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정책 의제화 ? ① 계기 및 배경 존재?: 특정한 이슈를 제기할 수 있는 정책적 환경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 사회복지정책과정 ; 정책의 형성(문제인식과 정책대안 형성) → 정책의 집행 → 정책의 평가 ? 2. 국민복지 기본선의 확보차원에서 저소득층 실업자를 위한 대책의 필요성을 제기. ? ■ 어떤 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의제화 되지 못하는 이유 ? ① 그 결과가 기득권층에게 이롭지 못할 가능성이 클 경우 ? ② 규모가 크고 잘 조직화된 이익집단이 정부의 정책과정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2000년 10월부터 실시.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2000년 10월부터 실시. ? ?의제(agenda)?: 문제의 해결에 대한 요구가 성공적으로 투입되어 정책행위자들의 논의 대상이 되는 것 ? [예]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 ☞ 1999년 8월 SBS 시사 프로그램인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이슈 제기. 범국민실업대책기구를 구성해 문제 제기. 국민복지 기본선의 확보차원에서 저소득층 실업자를 위한 대책의 필요성을 제기.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의제화 과정) ? ■ 참고교재 : - Neil Gilbert &Paul Terrell(1998),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Massachusetts : Allyn &Bacon. ? ③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와 신념이 특정한 문제나 정책안에 대해 부정적으로 작용할 경우. ? ③ 이슈 발생?: 생활보호법에 대한 대체입법 제안. 1998년 6월, ‘사회보장정책협의모임’(민주노총, 경실련, 참여연대, 여연 등 시민단체들로 구성)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과 저소득 실직자 생활보장방안 정책공청회’ 개최. 1) 경제?사회적 측면을 보면, 경제 위기 이후 대량실업 문제와 빈곤의 문제가 발생함. ? ■ 어떤 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의제화 되지 못하는 이유 ? ① 그 결과가 기득권층에게 이롭지 못할 가능성이 클 경우 ? ② 규모가 크고 잘 조직화된 이익집단이 정부의 정책과정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 cf> 이슈 제기자?: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슈화시키는 사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의 필요성을 광범위하게 전파, 쟁점 확산.. ? ⑥ 정책의 법제화 : 1999년 8월 12일 국회를 통과해 9월 7일 공포. 대체입법 제안.. . ? 1.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 cf> 이슈 제기자?: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슈화시키는 사람.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 ?문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처한 상황과 조건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 ? ?요구(demand)?: 정부에 요청하는 형태의 구체적인 행동을 표출 ? ?이슈(issue)?: 어떤 문제나 요구가 ‘공공의 관심’을 끌어 공공정책 상의 논점으로 제시되는 것. ? ?의제(agenda)?: 문제의 해결에 대한 요구가 성공적으로 투입되어 정책행위자들의 논의 대상이 되는 것 ? [예]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 ☞ 1999년 8월 SBS 시사 프로그램인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이슈 제기.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1998년 6월, ‘사회보장정책협의모임’(민주노총, 경실련, 참여연대, 여연 등 시민단체들로 구성)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과 저소득 실직자 생활보장방안 정책공청회’ 개최. ?- 남찬섭 역(2006), 사회복지 정책론, 나눔의 집. ? [예] 2002년 3월, 뇌성마비 1급 장애인 여성 최옥란 씨가 최저생활비 보장 요구. ? □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분석 중, 의제화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문제나 요구가 공공의 관심을 끌긴 했지만, 정치체제나 정책행위자들에 의해 통제되어 공공정책상의 논점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무시되는 경우. . 사회복지정책의 의제화 ? ?문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처한 상황과 조건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 ? ?요구(demand)?: 정부에 요청하는 형태의 구체적인 행동을 표출 ? ?이슈(issue)?: 어떤 문제나 요구가 ‘공공의 관심’을 끌어 공공정책 상의 논점으로 제시되는 것. 정책결정과정 ; 목표 설정 → 욕구 조사 → 정책의 목적 구체화 → 정책대안 설계 → 정책대안의 결과 예상 및 정책대안 평가 → 정책대안 중 하나 선택 → 선정된 정책대안 집행 → 정책결과 평가 → 환류 ? ?. ? cf> non-issue?: 억압된 이슈. ? ② 문제 제기?: 시민사회단체의 문제제기 1998년 3월 4일, 참여연대는 ‘고실업사태의 사회적 대안’이라는 주제로 공청회 개최. 사회복지정책과정 ; 정책의 형성(문제인식과 정책대안 형성) → 정책의 집행 → 정책의 평가 ? 2. □ ?사회복지정책이 의제화 되는 단계에 대해 이해하고, 주요 용어를 숙지한다.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의제화 과정) ? ■ 참고교재 : - Neil Gilbert &Paul Terrell(1998),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Massachusetts : Allyn &Bacon. ? ③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와 신념이 특정한 문제나 정책안에 대해 부정적으로 작용할 경우. 사회복지정책론 자료등록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등록 TP . 대체입법 제안. ? 2)정치적 측면을 보면, 1998년 2월에 김대중 정부가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