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미학적 존재들인 환영, 창조적 정치가들,그 당시에 창조자에 해당하는 용어들은 없었지만 사실상 시인을 창조하는 사람으로서 이해했던 것이다 그리고 오로지 시인만이 그렇다고 보았다. 자연의 모방에 대한 능력은 특히 천재를 전제로 한다.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형체들을 예술가가 사용한다. 천재성은 미의 이념에 대한 실현으로서 이의 이상을 창조한다. ‘제작된 것과 창조된 것에는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내려짐으로서 창조라는 표현에 대한 새롭고 종교적인 이 해석과 나란히, 즉 젤로스도 중요하다.. 즉 예술, 즉 미메시스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간주했다. 예술가가 자연을 모방하기보다는 자신의 상상력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예술가들은 새로운 사물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존재하는 의미 있는 사물들을 모방하는 데 불과했다. 그리스 철학: 모방론에 대해. 말하자면 여러 학문들에 있어서의 창조성, 이데아, 비-존재를 배제함으로써 자체로 완결적인 닫혀진 체계를 완성하지만, 추종, 언어 ......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사회과학]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반영론을 이해한다면 간단하다.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모방한 것 예를 들어 증명사진은 단순한 재현이다. 허나 예술가가 자신의 모습을 예술적 표현으로 모방한 것은 예술이다. 즉, 단순한 재현이 아닌 예술적 표현으로 재탄생한 것이 반영론의 예술이란 것이다. 여기서 예술적 표현이란 어떤 작품에 대한 아름다움의 표현정도가 된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예술가들은 새로운 사물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존재하는 의미 있는 사물들을 모방하는 데 불과했다. 그렇지만 그리스인들에게 이에 대한 예외의 것이 하나가 있었는데 그것은 시였다. 시에 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리스인들은 예술가와 연관 짓지도 않았고 시를 예술과 연결 짓지도 않았다. 그 당시에 창조자에 해당하는 용어들은 없었지만 사실상 시인을 창조하는 사람으로서 이해했던 것이다 그리고 오로지 시인만이 그렇다고 보았다.
로마에서는 그리스에서의 개념들이 부분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했다. 호라티우스는 시인만이 아니라 화가도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감행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근본적인 변화는 기독교 시대에 일어났다. 창조라는 표현이 무로부터 창조하는 신의 행위를 가리키게 된 것이다. ‘제작된 것과 창조된 것에는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내려짐으로서 창조라는 표현에 대한 새롭고 종교적인 이 해석과 나란히, 예술은 창조성의 영역이 아니라는 고대의 견해도 계속되었음에 틀림없다.
이 모든 것이 근대에 와서 변화하게 되었다. 르네상스를 거친 나름의 독립심과 자유, 창조성에 대한 감각을 갖고 있었다는 사람들은 예술에 대한 해석에서 드러나야 했다. 당시대의 예술가들이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을 생각해낸다. 예술가가 작품을 예정한다. 예술가가 자신의 관념에 따라 회화 작품의 모양을 짓는다.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형체들을 예술가가 사용한다. 예술가가 자연을 모방하기보다는 자신의 상상력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이런 말을 했듯이 그들은 여러 가지 표현들을 시도하긴 했으나 아직 ‘창조성’ 이라는 표현에는 미치지 못했다.
20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창조자’ 라는 표현이 인간문화 전체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말하자면 여러 학문들에 있어서의 창조성, 창조적 정치가들, 새로운 기술문명의 창조자 등에 관한 말들이 오고가기 시작한 것이다.
현대적으로 창조성을 이해하자면 매우 넓은 영역을 가진 개념이다. 이 개념에는 예술가들 뿐 아니라 과학자 및 기술자들에게도 해당되는 모든 류의 인간적 행위와 제작이 포함된다.
모방이란 용어는 고대에 조각 및 연극술에서 실재를 재생한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는 의미의 단어였다.
예술은 자연의 모방으로서 시작된다. 자연의 모방에 대한 능력은 특히 천재를 전제로 한다. 천재성은 미의 이념에 대한 실현으로서 이의 이상을 창조한다. 이는 예술이 직관적인 이미지들 혹은 단어들을 통해 자연을 모방해야 한다는 경과를 가져온다.
그리스 철학: 모방론에 대해..
플라톤은 이데아를 중시한 반면에 형이하학적 (비관념적)인 모든 것을 부정하였다. 따라서 문학 예술 등은 이데아의 하급 위치에 서 있으며 작가와 예술가 역시 국가 (폴리테이아) 건설에 불필요한 존재로 비난 당했다. 이에 비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 행위가 근본적으로 모방, 즉 미메시스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간주했다. 예술은 인간 삶에 대한 모방이므로 예술 작품은 인간 삶에서 가능한 무엇이 예술적으로 형상화된 것이라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 이론에 의하면 모방도 중요하지만, 추종, 즉 젤로스도 중요하다. 추종이란 모범적 작품 내지 모범적 작가의 범례를 따르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모방 이론이 가장 잘 나타나는 장르를 연극이라고 간주하였다.
인간 감정의 순화, 즉 카타르시스는 주로 비극에서 나타난다. 인간은 극작품을 대하면서 공포 그리고 동정심을 느낀다고 한다. 이러한 정서의 순화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극론으로 이어진다.
모방론은 예술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언어적 확언(affirmation)을 포함한 감각적인 모든 것을 어떤 시원적인 동일자로부터 설명하려는 형이상학적인 가설이다. 즉 예술, 언어, 심지어 이 세계는 어떤 것의 모방이다. 그러나 원형과의 동일성을 획득하지 못한 열등한 모방인 모사(simulacre)는 원형으로부터 그 존재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자의 체계에서 비난되거나 은폐된다. 플라톤은 모방론을 통하여 자신의 理想에서 벗어나는 이질적인 존재들을 배제하면서 동일성의 철학을 열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동일자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제까지 배제되었던 비존재들의 권리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플라톤의 담론을 현대의 기호학과 구조주의적 시스템의 도움으로 다시 읽음으로써 모방론에서의 모사를 긍정적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이는 일종의 해체를 통해서 동일자의 철학을 전복시키고자 하는 현대프랑스 철학자들의 시도와 다르지 않은데, 이 과정에서 새로운 존재론이 파생될 수 있다. 즉 모방의 계열들, 즉 미학적 존재들인 환영, 모사, 언어(모사), 기호 등은 어떤 시원을 지시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자와 다른 독립적인 존재, 그러나 불확실한 존재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플라톤주의는 동일자에로의 조회라고 하는 확실성을 위해서 그와 다른 존재, 비-존재를 배제함으로써 자체로 완결적인 닫혀진 체계를 완성하지만, 사실 그가 혐오한 이런 불확실성이야말로 우리에게 개방된 사유, 즉 이전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끊임없는 반성을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 아버지, 이데아, 그리고 플라톤
무엇이건 시작이 있었다고 우리는 믿는다. 언젠가는 존재했었지만 이제는 사라진 시원에 대한 추구를 통해서 `지금 이미` 있는 것들의 성격을 해명해주고 질서지워주기를 소망한다. 시원이 그로부터 파생된 것들에 대하여 행사하게 되는 이 엄청난 힘. 어마어마한 힘을 후손들에게 행사할 수 있다는 시원의 권위때문에 그 자체가 옳은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닌가? 우리가 `처음`이라는 경험에 가지고 있는 순정과 더불어 역사는 시원의 신화를 부풀리는 어떤 의미의 축적과 전개
허나 예술가가 자신의 모습을 예술적 표현으로 모방한 것은 예술이다. 즉 예술, 언어, 심지어 이 세계는 어떤 것의 모방이다. 그 당시에 창조자에 해당하는 용어들은 없었지만 사실상 시인을 창조하는 사람으로서 이해했던 것이다 그리고 오로지 시인만이 그렇다고 보았다. 시원이 그로부터 파생된 것들에 대하여 행사하게 되는 이 엄청난 힘. 이 개념에는 예술가들 뿐 아니라 과학자 및 기술자들에게도 해당되는 모든 류의 인간적 행위와 제작이 포함된다. ‘제작된 것과 창조된 것에는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내려짐으로서 창조라는 표현에 대한 새롭고 종교적인 이 해석과 나란히, 예술은 창조성의 영역이 아니라는 고대의 견해도 계속되었음에 틀림없다. 현대적으로 창조성을 이해하자면 매우 넓은 영역을 가진 개념이다. 즉 예술, 언어, 심지어 이 세계는 어떤 것의 모방이다. 이는 예술이 직관적인 이미지들 혹은 단어들을 통해 자연을 모방해야 한다는 경과를 가져온다. 현대적으로 창조성을 이해하자면 매우 넓은 영역을 가진 개념이다. 따라서 문학 예술 등은 이데아의 하급 위치에 서 있으며 작가와 예술가 역시 국가 (폴리테이아) 건설에 불필요한 존재로 비난 당했다. 즉 모방의 계열들, 즉 미학적 존재들인 환영, 모사, 언어(모사), 기호 등은 어떤 시원을 지시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자와 다른 독립적인 존재, 그러나 불확실한 존재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시원이 그로부터 파생된 것들에 대하여 행사하게 되는 이 엄청난 힘. 모방이란 용어는 고대에 조각 및 연극술에서 실재를 재생한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는 의미의 단어였다. 즉, 단순한 재현이 아닌 예술적 표현으로 재탄생한 것이 반영론의 예술이란 것이다.. 당시대의 예술가들이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을 생각해낸 예술가가 자연을 모방하기보다는 자신의 상상력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정서의 순화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극론으로 이어진다. 1. 인간은 극작품을 대하면서 공포 그리고 동정심을 느낀다고 한다. 호라티우스는 시인만이 아니라 화가도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감행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시에 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리스인들은 예술가와 연관 짓지도 않았고 시를 예술과 연결 짓지도 않았다. 즉, 단순한 재현이 아닌 예술적 표현으로 재탄생한 것이 반영론의 예술이란 것이다. 인간은 극작품을 대하면서 공포 그리고 동정심을 느낀다고 한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플라톤주의는 동일자에로의 조회라고 하는 확실성을 위해서 그와 다른 존재, 비-존재를 배제함으로써 자체로 완결적인 닫혀진 체계를 완성하지만, 사실 그가 혐오한 이런 불확실성이야말로 우리에게 개방된 사유, 즉 이전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끊임없는 반성을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사회과학]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반영론을 이해한다면 간단하다.. 당시대의 예술가들이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을 생각해낸.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플라톤은 모방론을 통하여 자신의 理想에서 벗어나는 이질적인 존재들을 배제하면서 동일성의 철학을 열었다. 그 당시에 창조자에 해당하는 용어들은 없었지만 사실상 시인을 창조하는 사람으로서 이해했던 것이다 그리고 오로지 시인만이 그렇다고 보았다. 그리고 근본적인 변화는 기독교 시대에 일어났다. 예술가가 자연을 모방하기보다는 자신의 상상력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모방한 것 예를 들어 증명사진은 단순한 재현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플라톤의 담론을 현대의 기호학과 구조주의적 시스템의 도움으로 다시 읽음으로써 모방론에서의 모사를 긍정적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시에 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리스인들은 예술가와 연관 짓지도 않았고 시를 예술과 연결 짓지도 않았다. 따라서 문학 예술 등은 이데아의 하급 위치에 서 있으며 작가와 예술가 역시 국가 (폴리테이아) 건설에 불필요한 존재로 비난 당했다.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자연의 모방에 대한 능력은 특히 천재를 전제로 한다. 그리스 철학: 모방론에 대해.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플라톤은 이데아를 중시한 반면에 형이하학적 (비관념적)인 모든 것을 부정하였다. 예술은 인간 삶에 대한 모방이므로 예술 작품은 인간 삶에서 가능한 무엇이 예술적으로 형상화된 것이라고 한다.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모방한 것 예를 들어 증명사진은 단순한 재현이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예술가들은 새로운 사물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존재하는 의미 있는 사물들을 모방하는 데 불과했다. 추종이란 모범적 작품 내지 모범적 작가의 범례를 따르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원형과의 동일성을 획득하지 못한 열등한 모방인 모사(simulacre)는 원형으로부터 그 존재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자의 체계에서 비난되거나 은폐된다.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형체들을 예술가가 사용한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이는 예술이 직관적인 이미지들 혹은 단어들을 통해 자연을 모방해야 한다는 경과를 가져온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플라톤의 담론을 현대의 기호학과 구조주의적 시스템의 도움으로 다시 읽음으로써 모방론에서의 모사를 긍정적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그렇지만 그리스인들에게 이에 대한 예외의 것이 하나가 있었는데 그것은 시였다. 이 개념에는 예술가들 뿐 아니라 과학자 및 기술자들에게도 해당되는 모든 류의 인간적 행위와 제작이 포함된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여기서 예술적 표현이란 어떤 작품에 대한 아름다움의 표현정도가 된다. 르네상스를 거친 나름의 독립심과 자유, 창조성에 대한 감각을 갖고 있었다는 사람들은 예술에 대한 해석에서 드러나야 했다. 나아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모방 이론이 가장 잘 나타나는 장르를 연극이라고 간주하였다. 예술가가 작품을 예정한다. 언젠가는 존재했었지만 이제는 사라진 시원에 대한 추구를 통해서 `지금 이미` 있는 것들의 성격을 해명해주고 질서지워주기를 소망한다. 말하자면 여러 학문들에 있어서의 창조성, 창조적 정치가들, 새로운 기술문명의 창조자 등에 관한 말들이 오고가기 시작한 것이다. 말하자면 여러 학문들에 있어서의 창조성, 창조적 정치가들, 새로운 기술문명의 창조자 등에 관한 말들이 오고가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일종의 해체를 통해서 동일자의 철학을 전복시키고자 하는 현대프랑스 철학자들의 시도와 다르지 않은데, 이 과정에서 새로운 존재론이 파생될 수 있다. 그리고 근본적인 변화는 기독교 시대에 일어났다.. ‘제작된 것과 창조된 것에는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내려짐으로서 창조라는 표현에 대한 새롭고 종교적인 이 해석과 나란히, 예술은 창조성의 영역이 아니라는 고대의 견해도 계속되었음에 틀림없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예술가들은 새로운 사물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존재하는 의미 있는 사물들을 모방하는 데 불과했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호라티우스는 시인만이 아니라 화가도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감행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비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 행위가 근본적으로 모방, 즉 미메시스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간주했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인간 감정의 순화, 즉 카타르시스는 주로 비극에서 나타난다. 모방이란 용어는 고대에 조각 및 연극술에서 실재를 재생한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는 의미의 단어였다. 창조라는 표현이 무로부터 창조하는 신의 행위를 가리키게 된 것이다. 예술은 인간 삶에 대한 모방이므로 예술 작품은 인간 삶에서 가능한 무엇이 예술적으로 형상화된 것이라고 한다. 허나 예술가가 자신의 모습을 예술적 표현으로 모방한 것은 예술이다. 어마어마한 힘을 후손들에게 행사할 수 있다는 시원의 권위때문에 그 자체가 옳은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닌가? 우리가 `처음`이라는 경험에 가지고 있는 순정과 더불어 역사는 시원의 신화를 부풀리는 어떤 의미의 축적과 전개. 어마어마한 힘을 후손들에게 행사할 수 있다는 시원의 권위때문에 그 자체가 옳은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닌가? 우리가 `처음`이라는 경험에 가지고 있는 순정과 더불어 역사는 시원의 신화를 부풀리는 어떤 의미의 축적과 전개.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 이론에 의하면 모방도 중요하지만, 추종, 즉 젤로스도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동일자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제까지 배제되었던 비존재들의 권리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20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창조자’ 라는 표현이 인간문화 전체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동일자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이제까지 배제되었던 비존재들의 권리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러나 원형과의 동일성을 획득하지 못한 열등한 모방인 모사(simulacre)는 원형으로부터 그 존재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자의 체계에서 비난되거나 은폐된다.. 예술은 자연의 모방으로서 시작된다. 로마에서는 그리스에서의 개념들이 부분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했다.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사회과학]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반영론을 이해한다면 간단하다. 이런 말을 했듯이 그들은 여러 가지 표현들을 시도하긴 했으나 아직 ‘창조성’ 이라는 표현에는 미치지 못했다. 모방론은 예술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언어적 확언(affirmation)을 포함한 감각적인 모든 것을 어떤 시원적인 동일자로부터 설명하려는 형이상학적인 가설이다. 플라톤주의는 동일자에로의 조회라고 하는 확실성을 위해서 그와 다른 존재, 비-존재를 배제함으로써 자체로 완결적인 닫혀진 체계를 완성하지만, 사실 그가 혐오한 이런 불확실성이야말로 우리에게 개방된 사유, 즉 이전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끊임없는 반성을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말을 했듯이 그들은 여러 가지 표현들을 시도하긴 했으나 아직 ‘창조성’ 이라는 표현에는 미치지 못했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즉 모방의 계열들, 즉 미학적 존재들인 환영, 모사, 언어(모사), 기호 등은 어떤 시원을 지시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자와 다른 독립적인 존재, 그러나 불확실한 존재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이 모든 것이 근대에 와서 변화하게 되었다. 창조라는 표현이 무로부터 창조하는 신의 행위를 가리키게 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 이론에 의하면 모방도 중요하지만, 추종, 즉 젤로스도 중요하다. 자연의 모방에 대한 능력은 특히 천재를 전제로 한다. 예술가가 자신의 관념에 따라 회화 작품의 모양을 짓는다. 천재성은 미의 이념에 대한 실현으로서 이의 이상을 창조한다. 아버지, 이데아, 그리고 플라톤 무엇이건 시작이 있었다고 우리는 믿는다. 예술은 자연의 모방으로서 시작된다. 20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창조자’ 라는 표현이 인간문화 전체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중시한 반면에 형이하학적 (비관념적)인 모든 것을 부정하였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추종이란 모범적 작품 내지 모범적 작가의 범례를 따르는 것을 말한다. 이에 비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 행위가 근본적으로 모방, 즉 미메시스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간주했다. 이는 일종의 해체를 통해서 동일자의 철학을 전복시키고자 하는 현대프랑스 철학자들의 시도와 다르지 않은데, 이 과정에서 새로운 존재론이 파생될 수 있다. 그리스 철학: 모방론에 대해. 르네상스를 거친 나름의 독립심과 자유, 창조성에 대한 감각을 갖고 있었다는 사람들은 예술에 대한 해석에서 드러나야 했다. 여기서 예술적 표현이란 어떤 작품에 대한 아름다움의 표현정도가 된다. 예술가가 자신의 관념에 따라 회화 작품의 모양을 짓는다. 이 모든 것이 근대에 와서 변화하게 되었다. 플라톤은 모방론을 통하여 자신의 理想에서 벗어나는 이질적인 존재들을 배제하면서 동일성의 철학을 열었다.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형체들을 예술가가 사용한다. 천재성은 미의 이념에 대한 실현으로서 이의 이상을 창조한다. 인간 감정의 순화, 즉 카타르시스는 주로 비극에서 나타난다. 그렇지만 그리스인들에게 이에 대한 예외의 것이 하나가 있었는데 그것은 시였다. 모방론은 예술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언어적 확언(affirmation)을 포함한 감각적인 모든 것을 어떤 시원적인 동일자로부터 설명하려는 형이상학적인 가설이다. 이러한 정서의 순화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극론으로 이어진다. 나아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모방 이론이 가장 잘 나타나는 장르를 연극이라고 간주하였다. 아버지, 이데아, 그리고 플라톤 무엇이건 시작이 있었다고 우리는 믿는다. 예술가가 작품을 예정한다. 로마에서는 그리스에서의 개념들이 부분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했다. 사회과학 자료실 미학의 이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다운받기 BU . 언젠가는 존재했었지만 이제는 사라진 시원에 대한 추구를 통해서 `지금 이미` 있는 것들의 성격을 해명해주고 질서지워주기를 소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