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8,786 4,189 5,030 3,898 1, 인구의 전출로 인한 인구감소도 심각 . 표-3)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영남과 호남) 구 분 사 업 체 수 고 용 인 원 전 라 도 342,436 1, 고용인원에서 경상도는 전라도의 3배에 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3 2. 반면에 광공업의 경우는 23. 그림-1) 위의 자료들을 보면서 알 수 있듯이 경기도와 경상도에 경제력이 집중되었고 전라도는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7 24.5%로 전국평균인 31. 정부주도형 경제개발 2. 기업집중형 개발전략 5. 대외지향적 공업화전략 3.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과거의낙후된호남,9%로 1985년보다는 감소하긴 했지만 전국평균의 3배에 육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 · 호남간의 소득격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호남지역의 인구유출을 가져왔. ,전라남도는 인구의 순전출이 9개도 중에서 가장 높고,755 538 -171 224 76. 1995년에는 농림어업비중이 17.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업 3.9%,21세기비상하는호남 □ 현재 호남의 모습 ○ 호남지역이 한국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 ......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과거의낙후된호남,21세기비상하는호남
□ 현재 호남의 모습
○ 호남지역이 한국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
□ 왜 이렇게 호남지역은 낙후되었는가?
○ 경제개발계획의 배경
○ 경제개발계획의 특징
1. 정부주도형 경제개발
2. 대외지향적 공업화전략
3. 외자의존형 자본조달
4. 기업집중형 개발전략
5. 농촌경제의 희생을 통한 성장
○ 호남지역의 낙후 원인
1. 사회간접자본(SOC)의 미비
2.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업
3. 농업중심 산업구조로 인한 지속적 인구유출
4. 인적자본 미비
□ 앞으로 호남이 가야할 방향
○ 광산업 육성
○ 혁신 클러스터 사업 추진
○ 서 · 남해안 지역개발(J프로젝트)
○ 고부가가치(벤처농업) 창출 농업 육성
○ 자연과 문화친화적 관광개발
1985년 전북과 전남의 농림어업 비중은 32%, 26%로 전국평균의 두 배를 상회하고 있다. 반면에 광공업의 경우는 23.3%, 27.5%로 전국평균인 31.6%에 못 미친다. 1995년에는 농림어업비중이 17.9%, 15,9%로 1985년보다는 감소하긴 했지만 전국평균의 3배에 육박하고 있다. 그리고 광공업의 비중은 전국평균인 31.2%에 미달한다. 영남지방의 경우 농림어업의 경우는 경북을 제외하고는 평균에 미달하고 광공업의 경우는 부산, 경북, 경남 모두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표-3)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영남과 호남)
구 분
사 업 체 수
고 용 인 원
전 라 도
342,374
1,387,640
경 상 도
904,888
4,000,530
위 자료는 2003년 지역별 사업체의 수와 고용인원을 비교한 자료이다. 전라도와 경상도의 두 지역에 대해서 비교한 자료인데 사업체수, 고용인원에서 경상도는 전라도의 3배에 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음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경부고속도로의 두 축인 경기도와 경상도에 사업체들이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고용인원 차이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그림-1)
위의 자료들을 보면서 알 수 있듯이 경기도와 경상도에 경제력이 집중되었고 전라도는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 이에 따라 영 · 호남간의 소득격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호남지역의 인구유출을 가져왔다.
표-4) 지역별 인구변동 추이
지 역
1960년 인구
1995년 인구
1960~95 증가분
인구수
비 중
인구수
비 중
인구수
비 중
수 도 권
호 남 지 역
영 남 지 역
충 청 지 역
강 원 도
제 주 도
5,194
5,948
8,030
3,898
1,637
282
20.8
23.8
32.1
15.6
6.5
1.1
20,189
5,227
12,786
4,436
1,466
505
45.3
11.7
28.7
9.9
3.3
1.1
14,995
-722
4,755
538
-171
224
76.4
-3.7
24.3
2.7
-0.8
1.1
전 국 인 구
24,989
100.0
44,609
100.0
19,619
100.0
전라북도의 경우 매년 인구의 순유출 순전출(전출-전입): 2004년의 경우 50974명의 순전출이 일어났다.
이 발생하고, 노령인구의 비율도 높아서 지역발전잠재력이 감소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인구의 순전출이 9개도 중에서 가장 높고, 인구의 전출로 인한 인구감소도 심각
호남 호남 비상하는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호남 레포트 21세기 비상하는 레포트 낙후된 호남 호남 20세기 LE 낙후된 LE LE 20세기 낙후된 20세기 레포트 21세기
영남지방의 경우 농림어업의 경우는 경북을 제외하고는 평균에 미달하고 광공업의 경우는 부산, 경북, 경남 모두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농업중심 산업구조로 인한 지속적 인구유출 4. 표-4) 지역별 인구변동 추이 지 역 1960년 인구 1995년 인구 1960~95 증가분 인구수 비 중 인구수 비 중 인구수 비 중 수 도 권 호 남 지 역 영 남 지 역 충 청 지 역 강 원 도 제 주 도 5,194 5,948 8,030 3,898 1,637 282 20.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 사회간접자본(SOC)의 미비 2.0 44,609 100. 그림-1) 위의 자료들을 보면서 알 수 있듯이 경기도와 경상도에 경제력이 집중되었고 전라도는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1 14,995 -722 4,755 538 -171 224 76.4 -3. 표-3)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영남과 호남) 구 분 사 업 체 수 고 용 인 원 전 라 도 342,374 1,387,640 경 상 도 904,888 4,000,530 위 자료는 2003년 지역별 사업체의 수와 고용인원을 비교한 자료이다..2%에 미달한다.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 이에 따라 영 · 호남간의 소득격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호남지역의 인구유출을 가져왔다. 전라남도는 인구의 순전출이 9개도 중에서 가장 높고, 인구의 전출로 인한 인구감소도 심각 .5%로 전국평균인 31. 이는 다음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경부고속도로의 두 축인 경기도와 경상도에 사업체들이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고용인원 차이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정부주도형 경제개발 2.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8 1.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6 6.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 이는 다음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경부고속도로의 두 축인 경기도와 경상도에 사업체들이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고용인원 차이의 원인임을 알 수 있다.6%에 못 미친다.0 19,619 100.5 1.3 1.0 44,609 100.6 6.0 전라북도의 경우 매년 인구의 순유출 순전출(전출-전입): 2004년의 경우 50974명의 순전출이 일어났다.7 2 11. 정부주도형 경제개발 2. 반면에 광공업의 경우는 23. 전라남도는 인구의 순전출이 9개도 중에서 가장 높고, 인구의 전출로 인한 인구감소도 심각 . 농업중심 산업구조로 인한 지속적 인구유출 4.8 32. 이에 따라 영 · 호남간의 소득격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호남지역의 인구유출을 가져왔다.8 32. 영남지방의 경우 농림어업의 경우는 경북을 제외하고는 평균에 미달하고 광공업의 경우는 부산, 경북, 경남 모두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1 15. 표-4) 지역별 인구변동 추이 지 역 1960년 인구 1995년 인구 1960~95 증가분 인구수 비 중 인구수 비 중 인구수 비 중 수 도 권 호 남 지 역 영 남 지 역 충 청 지 역 강 원 도 제 주 도 5,194 5,948 8,030 3,898 1,637 282 20.1 전 국 인 구 24,989 100. 기업집중형 개발전략 5. 대외지향적 공업화전략 3.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과거의낙후된호남,21세기비상하는호남 □ 현재 호남의 모습 ○ 호남지역이 한국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 □ 왜 이렇게 호남지역은 낙후되었는가? ○ 경제개발계획의 배경 ○ 경제개발계획의 특징 1..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업 3. 농촌경제의 희생을 통한 성장 ○ 호남지역의 낙후 원인 1.1 20,189 5,227 12,786 4,436 1,466 505 45.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과거의낙후된호남,21세기비상하는호남 □ 현재 호남의 모습 ○ 호남지역이 한국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 □ 왜 이렇게 호남지역은 낙후되었는가? ○ 경제개발계획의 배경 ○ 경제개발계획의 특징 1.7 -0.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1 15. 외자의존형 자본조달 4.1 14,995 -722 4,755 538 -171 224 76. 그리고 광공업의 비중은 전국평균인 31.3%, 27.5 1.2%에 미달한다.6%에 못 미친다.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 이 발생하고, 노령인구의 비율도 높아서 지역발전잠재력이 감소하고 있다. 대외지향적 공업화전략 3.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업 3.9 3.1 20,189 5,227 12,786 4,436 1,466 505 45. 11.7 24.7 -0.8 23. 반면에 광공업의 경우는 23.0 19,619 100.9 3. 1995년에는 농림어업비중이 17. 그림-1) 위의 자료들을 보면서 알 수 있듯이 경기도와 경상도에 경제력이 집중되었고 전라도는 상대적으로 낙후되었다. 전라도와 경상도의 두 지역에 대해서 비교한 자료인데 사업체수, 고용인원에서 경상도는 전라도의 3배에 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적자본 미비 □ 앞으로 호남이 가야할 방향 ○ 광산업 육성 ○ 혁신 클러스터 사업 추진 ○ 서 · 남해안 지역개발(J프로젝트) ○ 고부가가치(벤처농업) 창출 농업 육성 ○ 자연과 문화친화적 관광개발 1985년 전북과 전남의 농림어업 비중은 32%, 26%로 전국평균의 두 배를 상회하고 있다.9%, 15,9%로 1985년보다는 감소하긴 했지만 전국평균의 3배에 육박하고 있다. 인적자본 미비 □ 앞으로 호남이 가야할 방향 ○ 광산업 육성 ○ 혁신 클러스터 사업 추진 ○ 서 · 남해안 지역개발(J프로젝트) ○ 고부가가치(벤처농업) 창출 농업 육성 ○ 자연과 문화친화적 관광개발 1985년 전북과 전남의 농림어업 비중은 32%, 26%로 전국평균의 두 배를 상회하고 있다. 외자의존형 자본조달 4. 농촌경제의 희생을 통한 성장 ○ 호남지역의 낙후 원인 1.4 -3.7 9.0 전라북도의 경우 매년 인구의 순유출 순전출(전출-전입): 2004년의 경우 50974명의 순전출이 일어났다.3 2. 그리고 광공업의 비중은 전국평균인 31.5%로 전국평균인 31.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7 2.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 이 발생하고, 노령인구의 비율도 높아서 지역발전잠재력이 감소하고 있다.1 전 국 인 구 24,989 100.7 9.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 기업집중형 개발전략 5.8 1.7 24. 1995년에는 농림어업비중이 17.9%, 15,9%로 1985년보다는 감소하긴 했지만 전국평균의 3배에 육박하고 있다.8 23.3 1. 전라도와 경상도의 두 지역에 대해서 비교한 자료인데 사업체수, 고용인원에서 경상도는 전라도의 3배에 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3%, 27. 사회간접자본(SOC)의 미비 2. 20세기 낙후된 호남, 21세기 비상하는 호남 레포트 GQ .3 2. 표-3)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영남과 호남) 구 분 사 업 체 수 고 용 인 원 전 라 도 342,374 1,387,640 경 상 도 904,888 4,000,530 위 자료는 2003년 지역별 사업체의 수와 고용인원을 비교한 자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