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전체 인가 대수로 나누면 한 대의 버스가 평균 675명을 실어나른 것이 된다. 버스중앙차로제 시행 노선의 경우 불법주정차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기울기 1/18 =5. 예상 결과 ] 비장애인 및 장애인 설문조사 해결책에 따른 예상결과 [ Chapter 3. 현재의 버스 이용 상태 Chapter 1.. 설문조사 시민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입니다.5% 보도턱의 높이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2006년에는 일 평균 4,962명을 수송하였으며, 입석 등 34) 연료 : 천연가스(CNG). ○ 휠체어 램프 장착으로 휠체어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 함 ○ 휠체어 고정장치의 설치로 운행중 안전하게 탑승이 가능함 Chapter 1. 둔촌2동 사무소 19 길동 사거리 16 강동역 17 천호사거리 17 광나루 20 영등포역 17 영등포 등기소 17 신도림역 22 신사역 15 논현역 17 교보타워사거리 19 강남역 17 이대후문 11 세브란스병원 11 연대앞 11 서대문우체국 12 15이하 (cm) 16~20 (cm) 20이상 (cm) 5정거장 9정거장 2정거장 31.휠체어 장애인 ......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Problem Based Learning
1조 처음처럼
류정환 2007144266 김도윤 2010147088
김민수 2010147016 김주석 2010147073
박정환 2010147036 이승진 2010147027
Problem Based Learning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저상 버스의 구조 및 특징
버스의 현 이용 상태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그에 따른 해결책
[ Chapter 2. 예상 결과 ]
비장애인 및 장애인 설문조사
해결책에 따른 예상결과
[ Chapter 3. 참조]
[ Chapter 4. Q & A]
- 구조 : 닐링시스템 장착으로 휠체어 탑승 가능
대당 가격 : 1억 9천만원 정도 (1억지원- 국시비 각50%)
정원 : 57인승 (좌석 23, 입석 등 34)
연료 : 천연가스(CNG)...Problem Based Learning
1조 처음처럼
류정환 2007144266 김도윤 2010147088
김민수 2010147016 김주석 2010147073
박정환 2010147036 이승진 2010147027
Problem Based Learning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저상 버스의 구조 및 특징
버스의 현 이용 상태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그에 따른 해결책
[ Chapter 2. 예상 결과 ]
비장애인 및 장애인 설문조사
해결책에 따른 예상결과
[ Chapter 3. 참조]
[ Chapter 4. Q & A]
- 구조 : 닐링시스템 장착으로 휠체어 탑승 가능
대당 가격 : 1억 9천만원 정도 (1억지원- 국시비 각50%)
정원 : 57인승 (좌석 23, 입석 등 34)
연료 : 천연가스(CNG)
※ Kneeling system : 차체 기울임 기능 장치 (차량의 높낮이 조절)
저상버스 특징
○ 출입문 계단이 없어 장애인 등 노약자의 승하차가 용이 함
○ 닐링(Kneeling)시스템과 휠체어 출입용 슬라이드 도입으로 승강장 인도
부분 과 직접 연결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 함
○ 광폭 중간문(120Cm) 적용으로 승하차가 용이 함.
○ 휠체어 램프 장착으로 휠체어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 함
○ 휠체어 고정장치의 설치로 운행중 안전하게 탑승이 가능함
Chapter 1. 저상버스의 구조 및 특징
그래서 우리조는 버스에 구조적인 개선 방안이나 해결책 보다는 원론적이고 현재 발생하고있는 근본적인 문제에 관하여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Chapter 1. 버스의 현 이용 상태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초저상CNG)
가격: 1억9600만원
현재의 서울시내버스는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08개, 지선버스 292개, 광역버스 43개 노선으로 총 420개 노선, 7967대 버스가 모두 민영으로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 2006년에는 일 평균 4,550,962명을 수송하였으며, 이를 전체 인가 대수로 나누면 한 대의 버스가 평균 675명을 실어나른 것이 된다.
그런데 그 675명중 장애인 탑승자는 몇 명이나 될까
자료 출처: 건설 교통부
버스 이용 상태
Chapter 1. 현재의 버스 이용 상태
Chapter 1. 설문조사
시민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입니다.
시민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입니다.
Chapter 1. 설문조사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문제제기 1
비장애인 승객들의 협조적 태도와 따가운 시선, 배려심 부족
문제제기 2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힘들게 조성된 버스정류장 환경
문제점 분석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대중교통의 편리한 이용과 시내버스 고급화를 통한 서비스 개선을 목적으로 도입한 저상버스에 이러한 요소들로 장애인의 탑승률이 현저히 낮아 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무색해진 것이 현실이다.
문제점 분석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힘든 버스정류장의 환경
보도턱의 높이
버스정류장 내 불법주정차
버스정류장 주변의 가로수와 벤치로 인한 불편함
환경 개선방안
보도턱의 높이 조절
중앙버스차로제 실시
가로수와 벤치의 배치 재조정
문제의 원인 분석과 예상 해결 방안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우리들이 직접 체험한 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저상버스의 높이 = 지상으로부터 34cm
보도턱의 높이 `30cm 슬로프가 나올 때 보도 턱에 걸려 접속 불가
보도턱의 높이 `20cm 고저차가 심해져 승차 어려움
○사는 지역 주변의 버스 정류장의 보도 턱 높이를 조사해봤다.
둔촌2동 사무소
19
길동 사거리
16
강동역
17
천호사거리
17
광나루
20
영등포역
17
영등포 등기소
17
신도림역
22
신사역
15
논현역
17
교보타워사거리
19
강남역
17
이대후문
11
세브란스병원
11
연대앞
11
서대문우체국
12
15이하
(cm)
16~20
(cm)
20이상
(cm)
5정거장
9정거장
2정거장
31.25%
56.25%
12.5%
보도턱의 높이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버스에 장애인이 자력으로 승하차 할 수 있는 슬로프 구배의 한계=5~8%
※구배= 경사면의 기운정도, 기울기 1/18 =5.5% 구배, 1/12=8.3% 구배
오직 12.5%정거장에서 장애인이 자력으로 승하차 할 수 있었다.
보도 높이(cm)
버스와의 고저차(Cm)
슬로프 구배(%)
25
2
2.5
20
7
8.8
15
12
15.0
12
17
21.3
5
22
27.5
보도턱의 높이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버스정류장 내에 불법 주차된 차량은 저상버스가 보도턱에 접속할 수 없게 만들고 ,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는 것 자체를 어렵게 만든다.
버스중앙차로제 시행 노선의 경우 불법주정차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가로변 정류장의 경우 도로변에 차량이나 오토바이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가 있었다.
버스정류장의 불법 주정차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노선 구분
중앙버스전용차로(총8개 정류장)
일반 가로변도로(8개 정류장)
불법 주정차 여부
있음
없음
있음
없음
해당 정류장
0 개소
8개소
3개소
5개소
비 율
0%
100%
32%
68%
불법 주 정차로 인한 장애인 버스탑승의 불편함은 중앙 버스 차로제 시행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개선 장애인 위한 위한 방안 이용 접근성 확대를 다운로드 이용 다운로드 장애인 확대를 버스 방안 LG 장애인 버스 접근성 버스 개선 위한 휠체어 확대를 접근성 방안 LG LG 이용 휠체어 다운로드 휠체어 개선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3 5 22 27. 시민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입니다. 둔촌2동 사무소 19 길동 사거리 16 강동역 17 천호사거리 17 광나루 20 영등포역 17 영등포 등기소 17 신도림역 22 신사역 15 논현역 17 교보타워사거리 19 강남역 17 이대후문 11 세브란스병원 11 연대앞 11 서대문우체국 12 15이하 (cm) 16~20 (cm) 20이상 (cm) 5정거장 9정거장 2정거장 31.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저상 버스의 구조 및 특징 버스의 현 이용 상태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그에 따른 해결책 [ Chapter 2. 설문조사 시민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입니다.Problem Based Learning 1조 처음처럼 류정환 2007144266 김도윤 2010147088 김민수 2010147016 김주석 2010147073 박정환 2010147036 이승진 2010147027 Problem Based Learning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문제제기 1 비장애인 승객들의 협조적 태도와 따가운 시선, 배려심 부족 문제제기 2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힘들게 조성된 버스정류장 환경 문제점 분석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대중교통의 편리한 이용과 시내버스 고급화를 통한 서비스 개선을 목적으로 도입한 저상버스에 이러한 요소들로 장애인의 탑승률이 현저히 낮아 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무색해진 것이 현실이다.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버스중앙차로제 시행 노선의 경우 불법주정차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가로변 정류장의 경우 도로변에 차량이나 오토바이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가 있었다.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시민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입니다..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버스에 장애인이 자력으로 승하차 할 수 있는 슬로프 구배의 한계=5~8% ※구배= 경사면의 기운정도, 기울기 1/18 =5. Chapter 1.5% 구배, 1/12=8. 문제점 분석 Chapter 1.. 2006년에는 일 평균 4,550,962명을 수송하였으며, 이를 전체 인가 대수로 나누면 한 대의 버스가 평균 675명을 실어나른 것이 된다.. Q & A] - 구조 : 닐링시스템 장착으로 휠체어 탑승 가능 대당 가격 : 1억 9천만원 정도 (1억지원- 국시비 각50%) 정원 : 57인승 (좌석 23, 입석 등 34) 연료 : 천연가스(CNG).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5%정거장에서 장애인이 자력으로 승하차 할 수 있었다. Chapter 1.Problem Based Learning 1조 처음처럼 류정환 2007144266 김도윤 2010147088 김민수 2010147016 김주석 2010147073 박정환 2010147036 이승진 2010147027 Problem Based Learning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Table of Contents [ Chapter 1.5 보도턱의 높이 Chapter 1.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Problem Based Learning 1조 처음처럼 류정환 2007144266 김도윤 2010147088 김민수 2010147016 김주석 2010147073 박정환 2010147036 이승진 2010147027 Problem Based Learning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 문제점 분석 Chapter 1.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Problem Based Learning 1조 처음처럼 류정환 2007144266 김도윤 2010147088 김민수 2010147016 김주석 2010147073 박정환 2010147036 이승진 2010147027 Problem Based Learning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Table of Contents [ Chapter 1.8 15 12 15. 버스정류장의 불법 주정차 Chapter 1. 2006년에는 일 평균 4,550,962명을 수송하였으며, 이를 전체 인가 대수로 나누면 한 대의 버스가 평균 675명을 실어나른 것이 된다.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예상 결과 ] 비장애인 및 장애인 설문조사 해결책에 따른 예상결과 [ Chapter 3. 버스의 현 이용 상태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초저상CNG) 가격: 1억9600만원 현재의 서울시내버스는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08개, 지선버스 292개, 광역버스 43개 노선으로 총 420개 노선, 7967대 버스가 모두 민영으로 운영되고 있다. 버스정류장의 불법 주정차 Chapter 1.. 보도 높이(cm) 버스와의 고저차(Cm) 슬로프 구배(%) 25 2 2.25% 1. 버스의 현 이용 상태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초저상CNG) 가격: 1억9600만원 현재의 서울시내버스는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08개, 지선버스 292개, 광역버스 43개 노선으로 총 420개 노선, 7967대 버스가 모두 민영으로 운영되고 있다.5 보도턱의 높이 Chapter 1. 저상버스의 구조 및 특징 그래서 우리조는 버스에 구조적인 개선 방안이나 해결책 보다는 원론적이고 현재 발생하고있는 근본적인 문제에 관하여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버스정류장 내에 불법 주차된 차량은 저상버스가 보도턱에 접속할 수 없게 만들고 ,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는 것 자체를 어렵게 만든다. 예상 결과 ] 비장애인 및 장애인 설문조사 해결책에 따른 예상결과 [ Chapter 3.5% 구배, 1/12=8.8 15 12 15. Q & A] - 구조 : 닐링시스템 장착으로 휠체어 탑승 가능 대당 가격 : 1억 9천만원 정도 (1억지원- 국시비 각50%) 정원 : 57인승 (좌석 23, 입석 등 34) 연료 : 천연가스(CNG) ※ Kneeling system : 차체 기울임 기능 장치 (차량의 높낮이 조절) 저상버스 특징 ○ 출입문 계단이 없어 장애인 등 노약자의 승하차가 용이 함 ○ 닐링(Kneeling)시스템과 휠체어 출입용 슬라이드 도입으로 승강장 인도 부분 과 직접 연결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 함 ○ 광폭 중간문(120Cm) 적용으로 승하차가 용이 함. 그런데 그 675명중 장애인 탑승자는 몇 명이나 될까 자료 출처: 건설 교통부 버스 이용 상태 Chapter 1. ○ 휠체어 램프 장착으로 휠체어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 함 ○ 휠체어 고정장치의 설치로 운행중 안전하게 탑승이 가능함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노선 구분 중앙버스전용차로(총8개 정류장) 일반 가로변도로(8개 정류장) 불법 주정차 여부 있음 없음 있음 없음 해당 정류장 0 개소 8개소 3개소 5개소 비 율 0% 100% 32% 68% 불법 주 정차로 인한 장애인 버스탑승의 불편함은 중앙 버스 차로제 시행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버스에 장애인이 자력으로 승하차 할 수 있는 슬로프 구배의 한계=5~8% ※구배= 경사면의 기운정도, 기울기 1/18 =5.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Chapter 1.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버스정류장 내에 불법 주차된 차량은 저상버스가 보도턱에 접속할 수 없게 만들고 ,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는 것 자체를 어렵게 만든다.0 12 17 21.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우리들이 직접 체험한 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저상버스의 높이 = 지상으로부터 34cm 보도턱의 높이 `30cm 슬로프가 나올 때 보도 턱에 걸려 접속 불가 보도턱의 높이 `20cm 고저차가 심해져 승차 어려움 ○사는 지역 주변의 버스 정류장의 보도 턱 높이를 조사해봤다. 설문조사 시민여러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입니다. 저상버스의 구조 및 특징 그래서 우리조는 버스에 구조적인 개선 방안이나 해결책 보다는 원론적이고 현재 발생하고있는 근본적인 문제에 관하여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런데 그 675명중 장애인 탑승자는 몇 명이나 될까 자료 출처: 건설 교통부 버스 이용 상태 Chapter 1.5% 보도턱의 높이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문제제기 1 비장애인 승객들의 협조적 태도와 따가운 시선, 배려심 부족 문제제기 2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힘들게 조성된 버스정류장 환경 문제점 분석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대중교통의 편리한 이용과 시내버스 고급화를 통한 서비스 개선을 목적으로 도입한 저상버스에 이러한 요소들로 장애인의 탑승률이 현저히 낮아 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무색해진 것이 현실이다. Chapter 1. 보도 높이(cm) 버스와의 고저차(Cm) 슬로프 구배(%) 25 2 2. 참조] [ Chapter 4.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힘든 버스정류장의 환경 보도턱의 높이 버스정류장 내 불법주정차 버스정류장 주변의 가로수와 벤치로 인한 불편함 환경 개선방안 보도턱의 높이 조절 중앙버스차로제 실시 가로수와 벤치의 배치 재조정 문제의 원인 분석과 예상 해결 방안 Chapter 1.25% 56.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노선 구분 중앙버스전용차로(총8개 정류장) 일반 가로변도로(8개 정류장) 불법 주정차 여부 있음 없음 있음 없음 해당 정류장 0 개소 8개소 3개소 5개소 비 율 0% 100% 32% 68% 불법 주 정차로 인한 장애인 버스탑승의 불편함은 중앙 버스 차로제 시행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Q & A] - 구조 : 닐링시스템 장착으로 휠체어 탑승 가능 대당 가격 : 1억 9천만원 정도 (1억지원- 국시비 각50%) 정원 : 57인승 (좌석 23, 입석 등 34) 연료 : 천연가스(CNG) ※ Kneeling system : 차체 기울임 기능 장치 (차량의 높낮이 조절) 저상버스 특징 ○ 출입문 계단이 없어 장애인 등 노약자의 승하차가 용이 함 ○ 닐링(Kneeling)시스템과 휠체어 출입용 슬라이드 도입으로 승강장 인도 부분 과 직접 연결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 함 ○ 광폭 중간문(120Cm) 적용으로 승하차가 용이 함.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저상 버스의 구조 및 특징 버스의 현 이용 상태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그에 따른 해결책 [ Chapter 2.0 12 17 21. 참조] [ Chapter 4.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참조] [ Chapter 4.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둔촌2동 사무소 19 길동 사거리 16 강동역 17 천호사거리 17 광나루 20 영등포역 17 영등포 등기소 17 신도림역 22 신사역 15 논현역 17 교보타워사거리 19 강남역 17 이대후문 11 세브란스병원 11 연대앞 11 서대문우체국 12 15이하 (cm) 16~20 (cm) 20이상 (cm) 5정거장 9정거장 2정거장 31. Q & A] - 구조 : 닐링시스템 장착으로 휠체어 탑승 가능 대당 가격 : 1억 9천만원 정도 (1억지원- 국시비 각50%) 정원 : 57인승 (좌석 23, 입석 등 34) 연료 : 천연가스(CNG).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저상 버스의 구조 및 특징 버스의 현 이용 상태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그에 따른 해결책 [ Chapter 2. Chapter 1.3% 구배 오직 12.25% 1 참조] [ Chapter 4.3 5 22 27.3% 구배 오직 12. ○ 휠체어 램프 장착으로 휠체어 승객의 승하차가 편리 함 ○ 휠체어 고정장치의 설치로 운행중 안전하게 탑승이 가능함 Chapter 1... 예상 결과 ] 비장애인 및 장애인 설문조사 해결책에 따른 예상결과 [ Chapter 3. 현재의 버스 이용 상태 Chapter 1. 휠체어 장애인 버스 이용 접근성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다운로드 ER .5%정거장에서 장애인이 자력으로 승하차 할 수 있었다. 예상 결과 ] 비장애인 및 장애인 설문조사 해결책에 따른 예상결과 [ Chapter 3. 현재의 버스 이용 상태 Chapter 1. 버스중앙차로제 시행 노선의 경우 불법주정차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가로변 정류장의 경우 도로변에 차량이나 오토바이가 불법 주정차된 경우가 있었다.5 20 7 8. 설문조사 Chapter 1.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우리들이 직접 체험한 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저상버스의 높이 = 지상으로부터 34cm 보도턱의 높이 `30cm 슬로프가 나올 때 보도 턱에 걸려 접속 불가 보도턱의 높이 `20cm 고저차가 심해져 승차 어려움 ○사는 지역 주변의 버스 정류장의 보도 턱 높이를 조사해봤다. 설문조사 Chapter 1.5% 보도턱의 높이 Chapter 1.5 20 7 8.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 ] 저상 버스의 구조 및 특징 버스의 현 이용 상태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그에 따른 해결책 [ Chapter 2.25% 56.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장애인들의 버스이용이 힘든 이유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 힘든 버스정류장의 환경 보도턱의 높이 버스정류장 내 불법주정차 버스정류장 주변의 가로수와 벤치로 인한 불편함 환경 개선방안 보도턱의 높이 조절 중앙버스차로제 실시 가로수와 벤치의 배치 재조정 문제의 원인 분석과 예상 해결 방안 Chap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