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육종방법으로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농산물 유전자가 변형되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도 있고 이런 알레르기에 사람이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도 알 수 없음 GMO작물이 토지를 독식하게 될 경우 어떤 파장을 가져올지 알 수 없음 종자기업의 GMO작물 연구개발 기계를 통한 대량재배로 다수확 가능 식량 위기의 대안 GMO 종자의 연구개발은 종과 종간의 벽을 무너뜨리는 행위 자연생태계가 무너짐 2011년 세계 종자산업 시장의 규모는 698억 달러로 추정 이 중 한국 시장 규모는 약 10.1 1ha 미만의 영농규모를 유지하는 농가가 75% (영농규모 영세) 인도네시아의 상황도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농업국가인 관계로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 자료: FAO, 흙살림,연구 시급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생산량 증대,% 자료: 통계청 외국으로 나가는 로열티 지급액은 매년 증가 200 우리나라의 것으로 알고 있는 청양고추의 경우도 외국소유 종자 3 국내활동 국내활동 국내 ......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SPI & SeedBank AB2TI
1 주제설명
2 국내상황
3 국내활동
4 인도네시아상황
5 인도네시아활동
6 양국의 종자관련활동구조 비교
7 제안
CONTENTS
1 주제설명
종자
종자(種子)(SEED)
식물에서 나온 씨앗
1 주제설명
주제설명
현재 세계상황
생존을 위한 기본적 권리 〓 식량
식량
수입
농사(자급)
세계 종자기업이 종자를 독점해 식량독재가 이루어 짐
곡물가격의 고공행진에 따라 식량자급률에 대한 문제가 세계적 이슈가 됨
세계 곡물시장의 수급 불균형과 곡물가격 급등 곡물 확보에 비상
세계 종자기업의 종자 지배 약 70% 종자기업의 종자는 ‘불임 씨앗’
종자로열티
1 주제설명
주제설명
현재 세계상황
GMO종자 육성으로 인해 자연생태계 파괴우려
토종종자 보호,연구 시급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생산량 증대, 유통 가공상의 편의를 위하여 유전공학기술을 이용, 기존의 육종방법으로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농산물
유전자가 변형되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도 있고 이런 알레르기에 사람이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도 알 수 없음
GMO작물이 토지를 독식하게 될 경우 어떤 파장을 가져올지 알 수 없음
종자기업의 GMO작물 연구개발
기계를 통한 대량재배로 다수확 가능 식량 위기의 대안
GMO 종자의 연구개발은 종과 종간의 벽을 무너뜨리는 행위
자연생태계가 무너짐
2011년 세계 종자산업 시장의 규모는 698억 달러로 추정
이 중 한국 시장 규모는 약 10.5억 달러
2 국내상황
국내상황
문제제기
한국 종자산업 규모는 아직 걸음마 단계
매년 지불하는 로열티 비용이 증가하고 있음.
한국의 종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시급
1.1%
한국
세계
98.9%
자료: 통계청
외국으로 나가는 로열티 지급액은 매년 증가
200
우리나라의 것으로 알고 있는 청양고추의 경우도 외국소유 종자
3 국내활동
국내활동
국내 종자보호활동 기관
토종종자 네트워크
‘토종 씨드림’
사회적 농민조합
토종씨앗 보유현황 실태조사
토종씨앗 농장운영
토종씨앗 지키기 사업
종자축제
사회적 영리기업
토종씨앗 농장운영
현재 비영리단체
종자관련 세미나
토종종자 나눔
토종씨앗 농장운영
종자은행(SEEDBANK)운영
종자보호를 위한 활동이 여러 민간기관에서 이루어짐
통합적인 기관의 필요성
도시농업위원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흙살림,
전국귀농본부 등이 모인 토종종자 네트워크조직
통합을 위한 조직이지만 미흡
4 인도네시아 상황
인도네시아상황
현재 인도네시아상황
국토의 20.7%가 농지면적 (33만 ㎢)
농가인구 38%
농업취업인구 42.1
1ha 미만의 영농규모를 유지하는 농가가 75%
(영농규모 영세)
인도네시아의 상황도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농업국가인 관계로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
자료: FAO, FAOSTAT 2010
5 인도네시아 활동
인도네시아활동
SPI
분류: 농민조직(사회적 협동조합)
설립 : 1998년 7월 8일
회원 수 : 132,500명과 45개의단체
주요활동 : 1. 교육활동
2. 간행물 발행
3. 플렌테이션 농경지 개간
4. 직영마켓
Up 위한 인도네시아 노력 인도네시아 노력 종자주권실현을 종자주권실현을 Up 위한 위한 종자주권실현을 인도네시아 CB CB 노력 Up CB
억 달러 2 국내상황 국내상황 문제제기 한국 종자산업 규모는 아직 걸음마 단계 매년 지불하는 로열티 비용이 증가하고 있음. 직영마켓.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9% 자료: 통계청 외국으로 나가는 로열티 지급액은 매년 증가 200 우리나라의 것으로 알고 있는 청양고추의 경우도 외국소유 종자 3 국내활동 국내활동 국내 종자보호활동 기관 토종종자 네트워크 ‘토종 씨드림’ 사회적 농민조합 토종씨앗 보유현황 실태조사 토종씨앗 농장운영 토종씨앗 지키기 사업 종자축제 사회적 영리기업 토종씨앗 농장운영 현재 비영리단체 종자관련 세미나 토종종자 나눔 토종씨앗 농장운영 종자은행(SEEDBANK)운영 종자보호를 위한 활동이 여러 민간기관에서 이루어짐 통합적인 기관의 필요성 도시농업위원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흙살림, 전국귀농본부 등이 모인 토종종자 네트워크조직 통합을 위한 조직이지만 미흡 4 인도네시아 상황 인도네시아상황 현재 인도네시아상황 국토의 20. 간행물 발행 3.7%가 농지면적 (33만 ㎢) 농가인구 38% 농업취업인구 4.1 1ha 미만의 영농규모를 유지하는 농가가 75% (영농규모 영세) 인도네시아의 상황도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농업국가인 관계로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 자료: FAO, FAOSTAT 2010 5 인도네시아 활동 인도네시아활동 SPI 분류: 농민조직(사회적 협동조합) 설립 : 1998년 7월 8일 회원 수 : 132,500명과 45개의단체 주요활동 : 1.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 간행물 발행 3.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 한국의 종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시급 1.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5억 달러 2 국내상황 국내상황 문제제기 한국 종자산업 규모는 아직 걸음마 단계 매년 지불하는 로열티 비용이 증가하고 있음. 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SPI & SeedBank AB2TI 1 주제설명 2 국내상황 3 국내활동 4 인도네시아상황 5 인도네시아활동 6 양국의 종자관련활동구조 비교 7 제안 CONTENTS 1 주제설명 종자 종자(種子)(SEED) 식물에서 나온 씨앗 1 주제설명 주제설명 현재 세계상황 생존을 위한 기본적 권리 〓 식량 식량 수입 농사(자급) 세계 종자기업이 종자를 독점해 식량독재가 이루어 짐 곡물가격의 고공행진에 따라 식량자급률에 대한 문제가 세계적 이슈가 됨 세계 곡물시장의 수급 불균형과 곡물가격 급등 곡물 확보에 비상 세계 종자기업의 종자 지배 약 70% 종자기업의 종자는 ‘불임 씨앗’ 종자로열티 1 주제설명 주제설명 현재 세계상황 GMO종자 육성으로 인해 자연생태계 파괴우려 토종종자 보호,연구 시급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생산량 증대, 유통 가공상의 편의를 위하여 유전공학기술을 이용, 기존의 육종방법으로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농산물 유전자가 변형되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도 있고 이런 알레르기에 사람이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도 알 수 없음 GMO작물이 토지를 독식하게 될 경우 어떤 파장을 가져올지 알 수 없음 종자기업의 GMO작물 연구개발 기계를 통한 대량재배로 다수확 가능 식량 위기의 대안 GMO 종자의 연구개발은 종과 종간의 벽을 무너뜨리는 행위 자연생태계가 무너짐 2011년 세계 종자산업 시장의 규모는 698억 달러로 추정 이 중 한국 시장 규모는 약 10.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1% 한국 세계 98.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1 1ha 미만의 영농규모를 유지하는 농가가 75% (영농규모 영세) 인도네시아의 상황도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농업국가인 관계로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 자료: FAO, FAOSTAT 2010 5 인도네시아 활동 인도네시아활동 SPI 분류: 농민조직(사회적 협동조합) 설립 : 1998년 7월 8일 회원 수 : 132,500명과 45개의단체 주요활동 : 1.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 직영마켓. 교육활동 2..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 교육활동 2.. 플렌테이션 농경지 개간 4. 플렌테이션 농경지 개간 4.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9% 자료: 통계청 외국으로 나가는 로열티 지급액은 매년 증가 200 우리나라의 것으로 알고 있는 청양고추의 경우도 외국소유 종자 3 국내활동 국내활동 국내 종자보호활동 기관 토종종자 네트워크 ‘토종 씨드림’ 사회적 농민조합 토종씨앗 보유현황 실태조사 토종씨앗 농장운영 토종씨앗 지키기 사업 종자축제 사회적 영리기업 토종씨앗 농장운영 현재 비영리단체 종자관련 세미나 토종종자 나눔 토종씨앗 농장운영 종자은행(SEEDBANK)운영 종자보호를 위한 활동이 여러 민간기관에서 이루어짐 통합적인 기관의 필요성 도시농업위원회,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흙살림, 전국귀농본부 등이 모인 토종종자 네트워크조직 통합을 위한 조직이지만 미흡 4 인도네시아 상황 인도네시아상황 현재 인도네시아상황 국토의 20. 한국의 종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시급 1.1% 한국 세계 98.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Up CT .7%가 농지면적 (33만 ㎢) 농가인구 38% 농업취업인구 4 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인도네시아 종자주권실현을 위한 노력 SPI & SeedBank AB2TI 1 주제설명 2 국내상황 3 국내활동 4 인도네시아상황 5 인도네시아활동 6 양국의 종자관련활동구조 비교 7 제안 CONTENTS 1 주제설명 종자 종자(種子)(SEED) 식물에서 나온 씨앗 1 주제설명 주제설명 현재 세계상황 생존을 위한 기본적 권리 〓 식량 식량 수입 농사(자급) 세계 종자기업이 종자를 독점해 식량독재가 이루어 짐 곡물가격의 고공행진에 따라 식량자급률에 대한 문제가 세계적 이슈가 됨 세계 곡물시장의 수급 불균형과 곡물가격 급등 곡물 확보에 비상 세계 종자기업의 종자 지배 약 70% 종자기업의 종자는 ‘불임 씨앗’ 종자로열티 1 주제설명 주제설명 현재 세계상황 GMO종자 육성으로 인해 자연생태계 파괴우려 토종종자 보호,연구 시급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생산량 증대, 유통 가공상의 편의를 위하여 유전공학기술을 이용, 기존의 육종방법으로 나타날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농산물 유전자가 변형되어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도 있고 이런 알레르기에 사람이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도 알 수 없음 GMO작물이 토지를 독식하게 될 경우 어떤 파장을 가져올지 알 수 없음 종자기업의 GMO작물 연구개발 기계를 통한 대량재배로 다수확 가능 식량 위기의 대안 GMO 종자의 연구개발은 종과 종간의 벽을 무너뜨리는 행위 자연생태계가 무너짐 2011년 세계 종자산업 시장의 규모는 698억 달러로 추정 이 중 한국 시장 규모는 약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