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 어미는 해라체에만 쓰일 뿐 나머지에서는 일반 어미로 바뀌므로 이런 종류의 문장은 각각 평서문과 명령문의 특수한 용법이라 볼 수 있다.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가는구나! (감탄문) 2.국문-어미 국문-어미에 대한 글입니다. 가고 싶으면 가렴/가려무나. (3) 접속어미의 특징 ① 한국어의 어미 중 그 수도 가장 많고, 웃으니.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갑니다! (평서문) ⓗ 1. 이번 휴가 때는 꼭 너희 집에 가마. (명령문) 우리나라 문말어미는 상대경어법을 담고 있어서 다채롭게 발달되어 있다. (허락문) 2. 가고 싶으면 가요. 그 중에서도 종속접속의 어미들이 그러하다. 접속어미 (1) 접속어미 기능 : 접속어미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 어미 ꡐ-어ꡑ는 양성모음 어간 뒤에서는 ꡐ-아ꡑ, 감탄문,ⓔ는 구어체에서라면 두 가지 표현이 모두 가능하지만 공식적 문어체에서는 각각 ‘ꔆ’표가 붙은 형태는 어색하다. ⓔ 한국의 수도는 {ꔆ어디냐/어디인가}? ⑥ 약속문, 허락문 등을 더 설정하는 수도 흔히 있는데 앞의 ......
국문-어미
국문-어미에 대한 글입니다. 국문-어미
ⓒ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느냐/ꔆ다니}가 문제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글에서는 해라체 쓰는 것이 이나 의문문의 경우에만 하게체를 쓴다. ⓓ,ⓔ는 구어체에서라면 두 가지 표현이 모두 가능하지만 공식적 문어체에서는 각각 ‘ꔆ’표가 붙은 형태는 어색하다.
ⓓ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ꔆ서울이네}.
ⓔ 한국의 수도는 {ꔆ어디냐/어디인가}?
⑥ 약속문, 감탄문, 허락문 등을 더 설정하는 수도 흔히 있는데 앞의 표에 없는 어미들이 이런 문장을 만드는 독자적인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이들 어미는 해라체에만 쓰일 뿐 나머지에서는 일반 어미로 바뀌므로 이런 종류의 문장은 각각 평서문과 명령문의 특수한 용법이라 볼 수 있다.
ⓕ 1. 이번 휴가 때는 꼭 너희 집에 가마. (약속문)
2. 이번 휴가에는 꼭 선생님 댁에 가겠어요. (평서문)
ⓖ 1.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가는구나! (감탄문)
2.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갑니다! (평서문)
ⓗ 1. 가고 싶으면 가렴/가려무나. (허락문)
2. 가고 싶으면 가요. (명령문)
우리나라 문말어미는 상대경어법을 담고 있어서 다채롭게 발달되어 있다.
2. 접속어미
(1) 접속어미 기능 : 접속어미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
(2) 접속어미의 종류
・ 등위접속 : 둘 이상의 문장이 독립적이고 대등한 자격으로 연결되는 접속.
・ 종속접속 : 접속되는 문장 사이에 인과 관계라든지 조건 관계와 같은 의미상의
종속관계가 있는 접속어미에 따라서는 접속되는 문장들의 의미관계에 따라 해석이 달라서 구별이 쉽지 않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많지 않으며 대체로는 어미에 따라 어떤 접속이든 일정한 기능을 한다.
일부 ‘으’로 시작되는 어미들은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으’를 탈락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예 : 가니, 웃으니. 어미 ꡐ-어ꡑ는 양성모음 어간 뒤에서는 ꡐ-아ꡑ, ꡐ하-ꡑ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ꡐ-어ꡑ로 교체된다.
(3) 접속어미의 특징
① 한국어의 어미 중 그 수도 가장 많고, 그 의미 기능도 가장 다양한 편이어서 그 하나하나를 다 설명하기 어렵다. 그 중에서도 종속접속의 어미들이 그러하다.
자료 국문-어미 DU 국문-어미 DU 국문-어미 자료 DU 자료
. (허락문) 2. (2) 접속어미의 종류 ・ 등위접속 : 둘 이상의 문장이 독립적이고 대등한 자격으로 연결되는 접속. 접속어미 (1) 접속어미 기능 : 접속어미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국문-어미 국문-어미에 대한 글입니다. 국문-어미 자료 ZL . 국문-어미 ⓒ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느냐/ꔆ다니}가 문제다.국문-어미 자료 ZL .. ⓔ 한국의 수도는 {ꔆ어디냐/어디인가}? ⑥ 약속문, 감탄문, 허락문 등을 더 설정하는 수도 흔히 있는데 앞의 표에 없는 어미들이 이런 문장을 만드는 독자적인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2. 이번 휴가 때는 꼭 너희 집에 가마. 그 중에서도 종속접속의 어미들이 그러하다. ⓓ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ꔆ서울이네}. (명령문) 우리나라 문말어미는 상대경어법을 담고 있어서 다채롭게 발달되어 있다. 어미 ꡐ-어ꡑ는 양성모음 어간 뒤에서는 ꡐ-아ꡑ, ꡐ하-ꡑ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ꡐ-어ꡑ로 교체된다. 국문-어미 자료 ZL . 국문-어미 자료 ZL . 가고 싶으면 가요. 국문-어미 자료 ZL .. ⓕ 1. (약속문) 2. 이번 휴가 때는 꼭 너희 집에 가마. 국문-어미 자료 ZL . 국문-어미 자료 ZL . ⓕ 1. 그러나 이런 경우는 많지 않으며 대체로는 어미에 따라 어떤 접속이든 일정한 기능을 한다.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가는구나! (감탄문) 2. 일부 ‘으’로 시작되는 어미들은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으’를 탈락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명령문) 우리나라 문말어미는 상대경어법을 담고 있어서 다채롭게 발달되어 있다. 이번 휴가에는 꼭 선생님 댁에 가겠어요. 어미 ꡐ-어ꡑ는 양성모음 어간 뒤에서는 ꡐ-아ꡑ, ꡐ하-ꡑ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ꡐ-어ꡑ로 교체된다. (약속문) 2. 예 : 가니, 웃으니. 그 중에서도 종속접속의 어미들이 그러하다. (3) 접속어미의 특징 ① 한국어의 어미 중 그 수도 가장 많고, 그 의미 기능도 가장 다양한 편이어서 그 하나하나를 다 설명하기 어렵다. 국문-어미 자료 ZL . ・ 종속접속 : 접속되는 문장 사이에 인과 관계라든지 조건 관계와 같은 의미상의 종속관계가 있는 접속어미에 따라서는 접속되는 문장들의 의미관계에 따라 해석이 달라서 구별이 쉽지 않다. (평서문) ⓖ 1. (평서문) ⓖ 1. ⓓ,ⓔ는 구어체에서라면 두 가지 표현이 모두 가능하지만 공식적 문어체에서는 각각 ‘ꔆ’표가 붙은 형태는 어색하다. 국문-어미 자료 ZL . 일부 ‘으’로 시작되는 어미들은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으’를 탈락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글에서는 해라체 쓰는 것이 이나 의문문의 경우에만 하게체를 쓴다. (2) 접속어미의 종류 ・ 등위접속 : 둘 이상의 문장이 독립적이고 대등한 자격으로 연결되는 접속. 이들 어미는 해라체에만 쓰일 뿐 나머지에서는 일반 어미로 바뀌므로 이런 종류의 문장은 각각 평서문과 명령문의 특수한 용법이라 볼 수 있다. ・ 종속접속 : 접속되는 문장 사이에 인과 관계라든지 조건 관계와 같은 의미상의 종속관계가 있는 접속어미에 따라서는 접속되는 문장들의 의미관계에 따라 해석이 달라서 구별이 쉽지 않다. 가고 싶으면 가렴/가려무나. (허락문) 2. 그러나 이런 경우는 많지 않으며 대체로는 어미에 따라 어떤 접속이든 일정한 기능을 한다. 국문-어미 자료 ZL . ⓓ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ꔆ서울이네}. 예 : 가니, 웃으니. 국문-어미 자료 ZL .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갑니다! (평서문) ⓗⓓ,ⓔ는 구어체에서라면 두 가지 표현이 모두 가능하지만 공식적 문어체에서는 각각 ‘ꔆ’표가 붙은 형태는 어색하다. 이번 휴가에는 꼭 선생님 댁에 가겠어요.국문-어미 국문-어미에 대한 글입니다. . (3) 접속어미의 특징 ① 한국어의 어미 중 그 수도 가장 많고, 그 의미 기능도 가장 다양한 편이어서 그 하나하나를 다 설명하기 어렵다. 이들 어미는 해라체에만 쓰일 뿐 나머지에서는 일반 어미로 바뀌므로 이런 종류의 문장은 각각 평서문과 명령문의 특수한 용법이라 볼 수 있다. 가고 싶으면 가요.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갑니다! (평서문) ⓗ . 가고 싶으면 가렴/가려무나. 국문-어미 ⓒ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느냐/ꔆ다니}가 문제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글에서는 해라체 쓰는 것이 이나 의문문의 경우에만 하게체를 쓴다. 접속어미 (1) 접속어미 기능 : 접속어미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 ⓔ 한국의 수도는 {ꔆ어디냐/어디인가}? ⑥ 약속문, 감탄문, 허락문 등을 더 설정하는 수도 흔히 있는데 앞의 표에 없는 어미들이 이런 문장을 만드는 독자적인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국문-어미 자료 ZL . 기러기가 참 많이도 날아가는구나! (감탄문)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