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동화가 일어나는 방향에 따라 순행동화와 역행동화로 나눈다.. 비음화의 예에서 ‘ㄴ’앞에서 ‘ㄷ’이 ‘ㄴ’으로 바뀌는 것(닫는 > 단는)이나 ‘ㅂ’이 ‘ㅁ’으로 바뀌는 것(잡는 > 잠는)이나 [-비음성]이 [+비음성]으로 바뀌는 점에서 똑같다. 유음화는 직접동화일 때도 있고(물놀이 > 물로리) 간접동화일 때도 있다(핥는다 > 할른다).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유음화(물놀이 > 물로리)는 ‘ㄹ’뒤에서 ‘ㄴ’이 ‘ㄹ’과 완전히 같아지는 완전동화이다. 그런데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자질의 관점에서 보면, 모음조화 등 ⑵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거리에 따라 직접동화와 간접동화로 나눈다. 영어와국어의자음동화 Ⅰ 국어의 자음동화 1. 국어의 자음동화 Ⅱ 영어의 자음동화 1. 이때 동화음과 피동화음 사이에 낀 자음을 개재자음이라 한다. 동화의 종류 음운과정 중 동화(assimilation)는 음운환경과 같거나 비슷하게 바뀌는 것으로 가장 흔하고 자연스러운 음운과정이다. 동화는 ......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영어와국어의자음동화
Ⅰ 국어의 자음동화
1. 동화의 종류
2. 국어의 자음동화
Ⅱ 영어의 자음동화
1. 동화의 방향
2. 영어 자음동화의 과정
1. 동화의 종류
음운과정 중 동화(assimilation)는 음운환경과 같거나 비슷하게 바뀌는 것으로 가장 흔하고 자연스러운 음운과정이다. 음운변화나 음운변동이 생기는 일차적인 동기는 발음의 쉬움(ease of articulation)을 추구하는 것이데 동화가 일어나면 일반적으로 발음이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동화를 입는 분절음을 피동화음(assimilated sound)이라고 하고 피동화음에 영향을 주어 동화를 일으키는 분절음을 동화음(또는 조건음: conditioning sound)이라 한다. 동화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된다.
⑴ 피동화음의 종류에 따라
① 자음동화 - 비음화, 측음화, 구개음화, 유성음화 등
② 모음동화 - ‘ㅣ’ 모음동화, 모음조화 등
⑵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거리에 따라 직접동화와 간접동화로 나눈다. 비음화(잡는 > 잠는)는 동화음 ‘ㄴ’과 피동화음 ‘ㅂ’이 붙어 있으므로 직접동화이다. 근대에 일어난 움라우트(올창이 > 올챙이)는 동화음 ‘이’와 피동화음 ‘아’가 떨어져 있으므로 간접동화이다. 이때 동화음과 피동화음 사이에 낀 자음을 개재자음이라 한다. 유음화는 직접동화일 때도 있고(물놀이 > 물로리) 간접동화일 때도 있다(핥는다 > 할른다).
① 직접동화 - 국내 > 궁내, 감로 > 감노
② 간접동화 - 아비 > 애비, 잡혀 > 잽혀
⑶ 피동화음이 동화음과 비슷해지는 정도에 따라 완전동화와 부분동화로 나눈다. 유음화(물놀이 > 물로리)는 ‘ㄹ’뒤에서 ‘ㄴ’이 ‘ㄹ’과 완전히 같아지는 완전동화이다. 한편 비음화는 완전동화일 대도 있고(닫는 > 단는) 부분동화일 때도 있다(잡는 > 잠는). 그런데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자질의 관점에서 보면, 피동화음이 가지는 자질 중의 한가지가 동화음의 자질과 같아진단는 점에서 완전동화와 부분동화가 차이가 없다. 비음화의 예에서 ‘ㄴ’앞에서 ‘ㄷ’이 ‘ㄴ’으로 바뀌는 것(닫는 > 단는)이나 ‘ㅂ’이 ‘ㅁ’으로 바뀌는 것(잡는 > 잠는)이나 [-비음성]이 [+비음성]으로 바뀌는 점에서 똑같다.
① 완전동화 - 받네 > 반네, 칼날 > 칼랄
② 부분동화 - 국내 > 궁내, 감로 > 감노, 아비 > 애비
⑷ 동화음(Conditioning sound)과 피동화음(Assimilated sound)의 선후관계에 따라, 즉 동화가 일어나는 방향에 따라 순행동화와 역행동화로 나눈다.
동화의 방향 2.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비음화(잡는 > 잠는)는 동화음 ‘ㄴ’과 피동화음 ‘ㅂ’이 붙어 있으므로 직접동화이다.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근대에 일어난 움라우트(올창이 > 올챙이)는 동화음 ‘이’와 피동화음 ‘아’가 떨어져 있으므로 간접동화이다.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음운변화나 음운변동이 생기는 일차적인 동기는 발음의 쉬움(ease of articulation)을 추구하는 것이데 동화가 일어나면 일반적으로 발음이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이때 동화음과 피동화음 사이에 낀 자음을 개재자음이라 한다.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 ⑴ 피동화음의 종류에 따라 ① 자음동화 - 비음화, 측음화, 구개음화, 유성음화 등 ② 모음동화 - ‘ㅣ’ 모음동화, 모음조화 등 ⑵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거리에 따라 직접동화와 간접동화로 나눈다. 동화의 방향 2. 동화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된다.. 비음화(잡는 > 잠는)는 동화음 ‘ㄴ’과 피동화음 ‘ㅂ’이 붙어 있으므로 직접동화이다. 그런데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자질의 관점에서 보면, 피동화음이 가지는 자질 중의 한가지가 동화음의 자질과 같아진단는 점에서 완전동화와 부분동화가 차이가 없다. 국어의 자음동화 Ⅱ 영어의 자음동화 1. 음운변화나 음운변동이 생기는 일차적인 동기는 발음의 쉬움(ease of articulation)을 추구하는 것이데 동화가 일어나면 일반적으로 발음이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동화의 종류 2. 비음화의 예에서 ‘ㄴ’앞에서 ‘ㄷ’이 ‘ㄴ’으로 바뀌는 것(닫는 > 단는)이나 ‘ㅂ’이 ‘ㅁ’으로 바뀌는 것(잡는 > 잠는)이나 [-비음성]이 [+비음성]으로 바뀌는 점에서 똑같다. 그런데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자질의 관점에서 보면, 피동화음이 가지는 자질 중의 한가지가 동화음의 자질과 같아진단는 점에서 완전동화와 부분동화가 차이가 없다. 유음화는 직접동화일 때도 있고(물놀이 > 물로리) 간접동화일 때도 있다(핥는다 > 할른다). 영어 자음동화의 과정 1. 동화를 입는 분절음을 피동화음(assimilated sound)이라고 하고 피동화음에 영향을 주어 동화를 일으키는 분절음을 동화음(또는 조건음: conditioning sound)이라 한다. ① 완전동화 - 받네 > 반네, 칼날 > 칼랄 ② 부분동화 - 국내 > 궁내, 감로 > 감노, 아비 > 애비 ⑷ 동화음(Conditioning sound)과 피동화음(Assimilated sound)의 선후관계에 따라, 즉 동화가 일어나는 방향에 따라 순행동화와 역행동화로 나눈다.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이때 동화음과 피동화음 사이에 낀 자음을 개재자음이라 한다.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한편 비음화는 완전동화일 대도 있고(닫는 > 단는) 부분동화일 때도 있다(잡는 > 잠는).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① 완전동화 - 받네 > 반네, 칼날 > 칼랄 ② 부분동화 - 국내 > 궁내, 감로 > 감노, 아비 > 애비 ⑷ 동화음(Conditioning sound)과 피동화음(Assimilated sound)의 선후관계에 따라, 즉 동화가 일어나는 방향에 따라 순행동화와 역행동화로 나눈다. 영어와국어의자음동화 Ⅰ 국어의 자음동화 1.. 근대에 일어난 움라우트(올창이 > 올챙이)는 동화음 ‘이’와 피동화음 ‘아’가 떨어져 있으므로 간접동화이다. 동화를 입는 분절음을 피동화음(assimilated sound)이라고 하고 피동화음에 영향을 주어 동화를 일으키는 분절음을 동화음(또는 조건음: conditioning sound)이라 한다. 영어 자음동화의 과정 1. 유음화(물놀이 > 물로리)는 ‘ㄹ’뒤에서 ‘ㄴ’이 ‘ㄹ’과 완전히 같아지는 완전동화이다. 동화의 종류 2. 한편 비음화는 완전동화일 대도 있고(닫는 > 단는) 부분동화일 때도 있다(잡는 > 잠는). 영어와국어의자음동화 Ⅰ 국어의 자음동화 1.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비음화의 예에서 ‘ㄴ’앞에서 ‘ㄷ’이 ‘ㄴ’으로 바뀌는 것(닫는 > 단는)이나 ‘ㅂ’이 ‘ㅁ’으로 바뀌는 것(잡는 > 잠는)이나 [-비음성]이 [+비음성]으로 바뀌는 점에서 똑같다.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 동화의 종류 음운과정 중 동화(assimilation)는 음운환경과 같거나 비슷하게 바뀌는 것으로 가장 흔하고 자연스러운 음운과정이다. 유음화는 직접동화일 때도 있고(물놀이 > 물로리) 간접동화일 때도 있다(핥는다 > 할른다). 동화의 종류 음운과정 중 동화(assimilation)는 음운환경과 같거나 비슷하게 바뀌는 것으로 가장 흔하고 자연스러운 음운과정이다.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① 직접동화 - 국내 > 궁내, 감로 > 감노 ② 간접동화 - 아비 > 애비, 잡혀 > 잽혀 ⑶ 피동화음이 동화음과 비슷해지는 정도에 따라 완전동화와 부분동화로 나눈다.. ⑴ 피동화음의 종류에 따라 ① 자음동화 - 비음화, 측음화, 구개음화, 유성음화 등 ② 모음동화 - ‘ㅣ’ 모음동화, 모음조화 등 ⑵ 동화음과 피동화음의 거리에 따라 직접동화와 간접동화로 나눈다. ① 직접동화 - 국내 > 궁내, 감로 > 감노 ② 간접동화 - 아비 > 애비, 잡혀 > 잽혀 ⑶ 피동화음이 동화음과 비슷해지는 정도에 따라 완전동화와 부분동화로 나눈다. 영어와 국어의 자음동화 레폿 YU .. 유음화(물놀이 > 물로리)는 ‘ㄹ’뒤에서 ‘ㄴ’이 ‘ㄹ’과 완전히 같아지는 완전동화이다. 국어의 자음동화 Ⅱ 영어의 자음동화 1. 동화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된다.